본문 바로가기
2009.02.04 16:51

색감

조회 수 642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색감

봄은 만물이 살아 움직이는 계절입니다. 따뜻한 기운이 대지를 적시는가 했더니 바다·하늘 할 것 없이 온통 생명의 잔치가 한창입니다. 이와 더불어 가정과 직장·학교 주변 화단에는 빛(色)이 가득합니다. 연둣빛 초원에서 뛰어노는 샛말간 유치원생 아이들의 앙증맞은 모습에선 싱그러움이 묻어나고, 시뻘건 속살을 내보인 철쭉은 타다 못해 제풀에 지칠 지경입니다. '봄은 색을 뽐내는 계절'인 것 같습니다.

사물의 색감을 표현하는 데 있어 우리말은 표현이 다양하고 쓰임도 미묘합니다. '새파랗다·시퍼렇다·샛노랗다·싯누렇다'. 색채를 나타내는 형용사로 각각 느낌이 다르게 다가오는데 쓰임에 어떤 원칙이 있습니다. '색이 매우 짙고 선명하다'는 뜻을 더하는 접두사 '새/시/샛/싯'등은 사용하는 면에선 비슷하지만 뒤에 붙는 형용사의 음운론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표기해야 합니다.

①새까맣다·새하얗다·새뽀얗다/시커멓다·시허옇다·시뿌옇다·시뻘겋다
②샛노랗다·샛말갛다/싯누렇다·싯멀겋다

'새/시'는 ①에서 보듯 어두음이 된소리나 거센소리 또는 'ㅎ'인 색채 형용사 앞에 붙여 쓰는데, 첫 음절이 양성 모음(ㅏ·ㅗ)일 때는 '새', 음성 모음(ㅓ·ㅜ)일 때는 '시'가 붙습니다.

'샛/싯'은 ②에서 처럼 뒤에 오는 색채 형용사의 첫소리가 목청이 떨려 울리는 유성음(ㄴ·ㄹ·ㅁ·ㅇ)일 때 맞추어 쓰는 것으로, 새/시'처럼 뒤 음절이 양성일 때는 '샛', 음성일 때는 '싯'으로 구분해 표현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966
1390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7
1389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905
138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65
1387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751
1386 재(齋)/제(祭) 바람의종 2009.02.07 10988
138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34
1384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50
1383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522
1382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346
1381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38
1380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90
1379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603
»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420
1377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50
1376 경사가 가파라서 바람의종 2009.02.03 11878
1375 담배를 피다 바람의종 2009.02.03 11224
1374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36
1373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631
1372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36
1371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727
1370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417
1369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