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3 18:36

경사가 가파라서

조회 수 1185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경사가 가파라서

'강을 끼고 비스듬히 올라가니 갑자기 경사가 가파라진다. 그래도 산 정상은 그리 멀어 보이지는 않는다.' '암스테르담 시가는 어딜 가나 비좁은 느낌을 준다. 건물들도 계단이 가파라서 오르내리기에 위험하다.'

예문처럼 '가파라진다'나 '가파라서'라고 쓰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잘못 활용한 것이다. '가팔라진다'와 '가팔라서'가 옳다. 기본형에 '르'가 붙는 용언들은 어떤 게 바른 형태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이들을 세 가지로 나눠보자.

우선 규칙적으로 활용하는 것들이다. 들르다, 치르다 등이 그 예인데 이들은 '-아/-어' 앞에서 매개모음인 '으'가 항상 탈락한다. 예를 들면 '들르+어'에서 '으'가 탈락해 '들러'가 되는 것이다. 이것을 '들려'로 잘못 쓰는 사람도 많다. 글머리의 예문은 '가파르다'를 규칙 용언으로 착각했기 때문에 잘못 쓴 것이다.

둘째는 르 불규칙 용언으로 '르'가 떨어져 나가고 'ㄹㄹ'이 덧생기는 것이다. 흐르다, 오르다 ,부르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흐르+어'에서 '르'가 탈락하고 'ㄹㄹ'이 덧생겨 '흘러'가 되는 것과 같은 경우다. '가파르다'도 르 불규칙 용언이므로 '가파르+아'에서 '르'가 탈락하고 'ㄹㄹ'이 덧생겨 '가팔라'가 된다.

셋째는 러 불규칙 용언인데 여기에 해당하는 것은 푸르다, 누르다, 이르다(至) 등이다. 이들은 뒤에 붙는 '-어'가 '-러'로 바뀌게 된다. 즉 '푸르+어'에서 '-어'가 '-러'로 바뀌어 '푸르러'가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85
1280 앙갚음, 안갚음 바람의종 2011.11.27 13881
1279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23
1278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93
1277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311
1276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392
1275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256
1274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81
1273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640
1272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39
1271 볏과 벼슬 바람의종 2011.11.17 11589
1270 짜장면과 오뎅 바람의종 2011.11.17 11293
1269 육상대회 바람의종 2011.11.16 11095
1268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78
1267 자(字) 바람의종 2011.11.15 10743
1266 겨울올림픽 바람의종 2011.11.15 8830
1265 복약 설명서 바람의종 2011.11.14 10986
1264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46
1263 정보무늬 바람의종 2011.11.13 12430
1262 디엠제트 바람의종 2011.11.13 11729
1261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49
1260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904
1259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