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3 18:36

경사가 가파라서

조회 수 1188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경사가 가파라서

'강을 끼고 비스듬히 올라가니 갑자기 경사가 가파라진다. 그래도 산 정상은 그리 멀어 보이지는 않는다.' '암스테르담 시가는 어딜 가나 비좁은 느낌을 준다. 건물들도 계단이 가파라서 오르내리기에 위험하다.'

예문처럼 '가파라진다'나 '가파라서'라고 쓰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잘못 활용한 것이다. '가팔라진다'와 '가팔라서'가 옳다. 기본형에 '르'가 붙는 용언들은 어떤 게 바른 형태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이들을 세 가지로 나눠보자.

우선 규칙적으로 활용하는 것들이다. 들르다, 치르다 등이 그 예인데 이들은 '-아/-어' 앞에서 매개모음인 '으'가 항상 탈락한다. 예를 들면 '들르+어'에서 '으'가 탈락해 '들러'가 되는 것이다. 이것을 '들려'로 잘못 쓰는 사람도 많다. 글머리의 예문은 '가파르다'를 규칙 용언으로 착각했기 때문에 잘못 쓴 것이다.

둘째는 르 불규칙 용언으로 '르'가 떨어져 나가고 'ㄹㄹ'이 덧생기는 것이다. 흐르다, 오르다 ,부르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흐르+어'에서 '르'가 탈락하고 'ㄹㄹ'이 덧생겨 '흘러'가 되는 것과 같은 경우다. '가파르다'도 르 불규칙 용언이므로 '가파르+아'에서 '르'가 탈락하고 'ㄹㄹ'이 덧생겨 '가팔라'가 된다.

셋째는 러 불규칙 용언인데 여기에 해당하는 것은 푸르다, 누르다, 이르다(至) 등이다. 이들은 뒤에 붙는 '-어'가 '-러'로 바뀌게 된다. 즉 '푸르+어'에서 '-어'가 '-러'로 바뀌어 '푸르러'가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28
1390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54
1389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608
1388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59
138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90
1386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1385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28
1384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68
1383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2010
1382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516
1381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79
1380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907
1379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28
1378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73
1377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513
137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705
137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51
1374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48
13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662
1372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69
1371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82
1370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529
136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