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3 18:36

경사가 가파라서

조회 수 1184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경사가 가파라서

'강을 끼고 비스듬히 올라가니 갑자기 경사가 가파라진다. 그래도 산 정상은 그리 멀어 보이지는 않는다.' '암스테르담 시가는 어딜 가나 비좁은 느낌을 준다. 건물들도 계단이 가파라서 오르내리기에 위험하다.'

예문처럼 '가파라진다'나 '가파라서'라고 쓰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잘못 활용한 것이다. '가팔라진다'와 '가팔라서'가 옳다. 기본형에 '르'가 붙는 용언들은 어떤 게 바른 형태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이들을 세 가지로 나눠보자.

우선 규칙적으로 활용하는 것들이다. 들르다, 치르다 등이 그 예인데 이들은 '-아/-어' 앞에서 매개모음인 '으'가 항상 탈락한다. 예를 들면 '들르+어'에서 '으'가 탈락해 '들러'가 되는 것이다. 이것을 '들려'로 잘못 쓰는 사람도 많다. 글머리의 예문은 '가파르다'를 규칙 용언으로 착각했기 때문에 잘못 쓴 것이다.

둘째는 르 불규칙 용언으로 '르'가 떨어져 나가고 'ㄹㄹ'이 덧생기는 것이다. 흐르다, 오르다 ,부르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흐르+어'에서 '르'가 탈락하고 'ㄹㄹ'이 덧생겨 '흘러'가 되는 것과 같은 경우다. '가파르다'도 르 불규칙 용언이므로 '가파르+아'에서 '르'가 탈락하고 'ㄹㄹ'이 덧생겨 '가팔라'가 된다.

셋째는 러 불규칙 용언인데 여기에 해당하는 것은 푸르다, 누르다, 이르다(至) 등이다. 이들은 뒤에 붙는 '-어'가 '-러'로 바뀌게 된다. 즉 '푸르+어'에서 '-어'가 '-러'로 바뀌어 '푸르러'가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60
1390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2
1389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64
1388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67
1387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481
1386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82
1385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483
1384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490
1383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91
1382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92
1381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493
1380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496
1379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501
1378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04
1377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11
1376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13
1375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519
1374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0
137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1
1372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2
1371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27
1370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30
1369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