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3 18:32

담배를 피다

조회 수 1119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담배를 피다

사람들 간의 대화나 신문·잡지·책 등에서 '담배를 피다''불을 피다''거드름을 피다''바람을 피다' 등의 표현을 쓰고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맞춤법에 어긋난다. '담배를 피우다''불을 피우다''거드름을 피우다''바람을 피우다' 등으로 써야 옳다.

'피다'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다. 그러므로 '꽃이 활짝 피었다/ 불이 잘 피지 않는다/ 얼굴이 피고 살이 통통하게 올랐다/ 검버섯이 드문드문 피었다/ 형편이 피었다'처럼 쓰인다. 따라서 '담배를 피다' 등처럼 목적어와 함께 쓰는 것은 문법에 맞지 않는다.

그런데 '담배를 피다'가 널리 쓰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표준국어대사전이 발간되기 이전에 대부분의 국어사전에서 '피다'를 '피우다'의 준말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엔 모두 '피다'를 '피우다'의 잘못으로 바로잡았다.

'잔이 비다/ 잔을 비우다, 잠이 깨다/ 잠을 깨우다, 날이 새다/ 날을 새우다' 등도 마찬가지로 구분해 써야 한다. 최근의 맞춤법에서는 준말을 많이 허용하고 있는데 왜 '피다'는 허용하지 않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쓰레기를 태니(태우니), 밤을 새어서라도(새워서라도), 그릇을 금세 비었다(비웠다)' 등처럼 자동사 '태다, 새다, 비다' 등은 타동사로 쓰일 경우 어색하기 짝이 없다. 이렇듯 다른 자동사들은 타동사처럼 쓰일 경우 자연스럽지 못한데, 널리 쓰인다고 '피다'만 예외로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담배를 '피지' 말고 '피워야'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62
2072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63
2071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56
2070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52
2069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552
2068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550
2067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50
2066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550
2065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46
2064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3
2063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9
2062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9
2061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9
2060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538
2059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33
2058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8
2057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5
2056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5
2055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23
2054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0
2053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20
2052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18
205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