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3 18:32

담배를 피다

조회 수 1123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담배를 피다

사람들 간의 대화나 신문·잡지·책 등에서 '담배를 피다''불을 피다''거드름을 피다''바람을 피다' 등의 표현을 쓰고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맞춤법에 어긋난다. '담배를 피우다''불을 피우다''거드름을 피우다''바람을 피우다' 등으로 써야 옳다.

'피다'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다. 그러므로 '꽃이 활짝 피었다/ 불이 잘 피지 않는다/ 얼굴이 피고 살이 통통하게 올랐다/ 검버섯이 드문드문 피었다/ 형편이 피었다'처럼 쓰인다. 따라서 '담배를 피다' 등처럼 목적어와 함께 쓰는 것은 문법에 맞지 않는다.

그런데 '담배를 피다'가 널리 쓰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표준국어대사전이 발간되기 이전에 대부분의 국어사전에서 '피다'를 '피우다'의 준말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엔 모두 '피다'를 '피우다'의 잘못으로 바로잡았다.

'잔이 비다/ 잔을 비우다, 잠이 깨다/ 잠을 깨우다, 날이 새다/ 날을 새우다' 등도 마찬가지로 구분해 써야 한다. 최근의 맞춤법에서는 준말을 많이 허용하고 있는데 왜 '피다'는 허용하지 않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쓰레기를 태니(태우니), 밤을 새어서라도(새워서라도), 그릇을 금세 비었다(비웠다)' 등처럼 자동사 '태다, 새다, 비다' 등은 타동사로 쓰일 경우 어색하기 짝이 없다. 이렇듯 다른 자동사들은 타동사처럼 쓰일 경우 자연스럽지 못한데, 널리 쓰인다고 '피다'만 예외로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담배를 '피지' 말고 '피워야'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75
1280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715
1279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623
1278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69
127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73
127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26
1275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56
1274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31
1273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1220
1272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48
1271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10
1270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536
1269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407
1268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291
126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432
1266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605
1265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94
1264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57
1263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421
1262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94
1261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9057
1260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1049
1259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