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3 18:30

배식

조회 수 750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배식

학교나 회사 식당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가 '배식구' '퇴식구'다. 식당에 있는 표지판을 보면 무슨 말인지 짐작할 수 있지만, 단어 자체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어다. 좀 길어져도 '배식구(配食口)'는 '밥 타는 곳', '퇴식구(退食口)'는 '식기 반납하는 곳' 또는 '식기 반납' 등으로 쉽게 고쳐 쓸 수 있는 것이다.

얼마 전 한 단체가 공항에서 탑승 대기자를 대상으로 기내 좌석에 붙은 국·한문 혼용 안내문구 '救杳衣(구명동의)는 座席(좌석) 밑에 있습니다'에 대한 이해 정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인의 55%, 일본인의 40%, 중국인의 66%가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한국인의 절반 이상이 한글이 있음에도 이 문구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문제다.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안내문구가 일반인이 이해하기에 너무 어려운 한자어로 돼 있다는 얘기다. 잘못 사용하면 치명적 부작용을 일으키는 의약품의 포장지에도 '경구 투여 금지'라는 설명이 적힌 것이 있다. '먹으면 안 된다'는 말이 이토록 어려운 한자어로 돼 있으니 애들은 물론 어른도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다.

1992년 정부가 순화 대상 용어 편람을 내놓고, 각 기관이 일본식 한자어나 어려운 한자어로 된 행정·법률용어 등을 쉬운 말로 고쳐 쓰는 운동을 펴고 있지만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배식구·퇴식구 역시 식품위생법에 나오는 용어다. 어려운 한자어는 권위적인 냄새를 풍기기도 한다. 배식구·퇴식구처럼 마음만 먹으면 쉬운 말로 고쳐 쓸 수 있는 단어가 주변에 많다. 어려운 한자어는 현재의 한글 세대와 맞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01
1544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84
1543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50
1542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667
1541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28
1540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204
1539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23
1538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36
1537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44
1536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232
1535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1534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51
1533 배제의 용어, '학번' / '둠벙'과 생태계 風文 2020.07.10 2003
1532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278
1531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97
1530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070
»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05
1528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72
1527 배부, 배포 바람의종 2012.03.05 19323
152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023
1525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520
1524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093
1523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0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