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23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우공이산(愚公移山).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우직하게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야기다. 어리석은 듯해 보이지만 우공은 확고한 신념을 가진 사람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순진하고 어리석다는 뜻의 '어리숙하다'는 일상생활에서 너무나 흔하게 쓰이고 있어 이것이 틀린 말인지조차 모를 정도다. '저 친구는 똑똑한 척하지만 눈치가 없고 좀 어리숙하다.' '우리 주변을 보면 좀 어리숙해서 무조건 남의 말을 믿고 잘 속아 넘어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명석하고 눈치가 빨라 여간해선 잘 속아 넘어가지 않는, 완전히 변별적인 사람이 있다.'

'어리숙하다'는 표준어가 아니다. '어수룩하다'(말이나 행동이 매우 숫되고 후하다. 되바라지지 않고 매우 어리석은 데가 있다)가 바른말이다.

'입성이나 외모가 허수룩하다 해서 상대를 얕보다간 큰코다치기 십상이다.' '주막의 평상에선 허수룩한 옷차림의 늙은이가 혼자서 사발에 탁주를 부어 들이켜고 있었다.'

이렇게 쓰이는 '허수룩하다'는 '헙수룩하다'의 잘못이다. '옷차림이 어지럽고 허름하다''머리털이나 수염이 자라서 텁수룩하다'를 뜻할 경우 '헙수룩하다'로 써야 맞다. 실생활에서의 사용 빈도를 따져보면 '어리숙하다'와 '허수룩하다'가 '어수룩하다''헙수룩하다'보다 더 높아 복수 표준어로 인정했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아직 표준어의 지위를 획득하지는 못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3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10
1984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55
1983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354
1982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4
1981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52
1980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46
197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44
1978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343
1977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1
1976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39
1975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30
1974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328
1973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328
1972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27
1971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26
1970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25
1969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20
1968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20
1967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15
1966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313
1965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311
1964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10
1963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