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8 15:58

승락, 승낙

조회 수 13725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승락, 승낙

여의도에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진보ㆍ보수정당 모두 너나없이 정치 개혁을 외치고 있다. 민주노동당은 "국회에 문화적 충격이 필요하다"며 아예 '국회의원 특권 폐지 운동'에 나설 방침이다. 국회의원으로서의 의무를 팽개친 채 특권을 휘두르는 것을 더는 '허락'할 수 없다는 민의의 반영이다. '허락(許諾)'은 청하는 일을 하도록 들어주는 것을 뜻한다. 비슷한 말로 '승낙(承諾)'이 있다. 이것을 '승락'으로 잘못 쓰는 사람이 많은데, '승낙'이 바른 표기다. 이는 '諾(대답할 낙)'이 허락.수락(受諾).쾌락(快諾) 등에선 '락'으로 쓰이는 데서 오는 혼동 때문이다.

그렇다면 같은 글자를 왜 '낙'으로도 쓰고 '락'으로도 쓸까? 한글 맞춤법에서는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속음(俗音)'이란 한자의 음을 읽을 때 본음과는 달리 사회에서 널리 쓰는 음이다. 즉 본음은 [허낙]이지만 많은 사람이 발음하기 편리한 [허락]으로 읽기 때문에 이 현실 발음을 수용, '허락'으로 적는 것이다. 수락ㆍ쾌락도 마찬가지다. 반면 승낙은 [승낙]으로 발음되고 본음 그대로 표기하고 있다.

분노(憤怒)/희로애락(喜怒哀樂), 토론(討論)/의논(議論), 오륙십(五六十)/유월(六月), 십일(十日)/시월(十月), 팔일(八日)/초파일(初八日) 등도 같은 예다. 그러나 '匿(숨길 닉)'을 은닉(隱匿)/익명(匿名)처럼 표기하는 것은 이와 달리 두음법칙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49
1280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59
1279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42
1278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38
1277 늑장, 늦장/터뜨리다, 터트리다/가뭄, 가물 바람의종 2008.12.27 13850
1276 기지개를 펴다, 피해를 입다 바람의종 2008.12.28 11023
1275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062
»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725
1273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091
1272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582
1271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196
1270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486
1269 담배를 피다 바람의종 2009.02.03 11192
1268 경사가 가파라서 바람의종 2009.02.03 11831
1267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388
1266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542
1265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46
1264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155
1263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474
1262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281
1261 재(齋)/제(祭) 바람의종 2009.02.07 10946
1260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36
1259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