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8 15:56

삐지다, 삐치다

조회 수 1213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삐지다, 삐치다

낭중지추(囊中之錐). 송곳은 주머니 속에 감추어도 저절로 삐져나오게 돼 있다는 데에서 생긴 말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사람들에게 자연스레 알려짐을 이르는 말이다. '삐져나오다'는 '속에 있는 것이 겉으로 불거져 나오다'를 뜻한다. '속옷이 밖으로 삐져나와 있는 것을 전혀 몰랐다' '비닐봉지의 아래쪽 터진 곳으로 붓 한 자루가 삐져나와 있었다'처럼 쓰인다. 당연히 비슷한 뜻의 말이라고 알고 있는'삐지다'는 이와 달리 '칼 따위로 물건을 얇고 비스듬하게 잘라내다'를 의미한다. '김칫국에 무를 삐져 넣다' '꽁치찌개는 굵은 감자를 숭숭 삐져 넣고 푹 끓여야 제 맛이 난다' 등이 바르게 쓰인 예다.

문제는 이 '삐지다'를 많은 사람이 '성이 나서 마음이 토라지다'의 뜻으로 잘못 사용한다는 점이다. '지선이는 잘 삐져서 친구들이 같이 안 놀려고 한다.' '그렇게 조그만 일에 삐지다니 그 친구 큰일은 못할 사람일세그려.' '그 여자 한번 삐지면 되우 오래간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조심해.' 이런 경우에는 '삐치다'를 써야 옳다.

'삐치다'에는 이 밖에 '일에 시달려 몸이나 마음이 몹시 느른하다'와 '글씨를 쓸 때 글자의 획을 비스듬히 내려쓰다'라는 뜻도 있다. 한편 '삐져나오다'는 '삐지다+나오다'로 구성된 말인데 이때의 '삐지다'는 그 의미가 '비어지다'(가려져 속에 있던 것이 밖으로 내밀어 나오다)와 관련된 것으로 보아 '칼 따위로 물건을 얇고 비스듬하게 잘라내다'의 뜻은 분명 아니다. 그런데 이런 뜻의 '삐지다'는 아직 사전에 실려 있지 않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89
1280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724
1279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623
1278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69
127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73
127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43
1275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58
1274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31
1273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1234
1272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48
1271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10
1270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573
1269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407
1268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293
126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458
1266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610
1265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503
1264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57
1263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421
1262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305
1261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9059
1260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1073
1259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