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8 15:56

삐지다, 삐치다

조회 수 1215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삐지다, 삐치다

낭중지추(囊中之錐). 송곳은 주머니 속에 감추어도 저절로 삐져나오게 돼 있다는 데에서 생긴 말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사람들에게 자연스레 알려짐을 이르는 말이다. '삐져나오다'는 '속에 있는 것이 겉으로 불거져 나오다'를 뜻한다. '속옷이 밖으로 삐져나와 있는 것을 전혀 몰랐다' '비닐봉지의 아래쪽 터진 곳으로 붓 한 자루가 삐져나와 있었다'처럼 쓰인다. 당연히 비슷한 뜻의 말이라고 알고 있는'삐지다'는 이와 달리 '칼 따위로 물건을 얇고 비스듬하게 잘라내다'를 의미한다. '김칫국에 무를 삐져 넣다' '꽁치찌개는 굵은 감자를 숭숭 삐져 넣고 푹 끓여야 제 맛이 난다' 등이 바르게 쓰인 예다.

문제는 이 '삐지다'를 많은 사람이 '성이 나서 마음이 토라지다'의 뜻으로 잘못 사용한다는 점이다. '지선이는 잘 삐져서 친구들이 같이 안 놀려고 한다.' '그렇게 조그만 일에 삐지다니 그 친구 큰일은 못할 사람일세그려.' '그 여자 한번 삐지면 되우 오래간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조심해.' 이런 경우에는 '삐치다'를 써야 옳다.

'삐치다'에는 이 밖에 '일에 시달려 몸이나 마음이 몹시 느른하다'와 '글씨를 쓸 때 글자의 획을 비스듬히 내려쓰다'라는 뜻도 있다. 한편 '삐져나오다'는 '삐지다+나오다'로 구성된 말인데 이때의 '삐지다'는 그 의미가 '비어지다'(가려져 속에 있던 것이 밖으로 내밀어 나오다)와 관련된 것으로 보아 '칼 따위로 물건을 얇고 비스듬하게 잘라내다'의 뜻은 분명 아니다. 그런데 이런 뜻의 '삐지다'는 아직 사전에 실려 있지 않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04
2182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75
2181 륙, 육 바람의종 2011.10.27 12368
2180 방금 바람의종 2011.10.27 8801
2179 공공칠 바람의종 2011.11.10 10989
2178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801
2177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972
2176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85
2175 디엠제트 바람의종 2011.11.13 11762
2174 정보무늬 바람의종 2011.11.13 12468
2173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70
2172 복약 설명서 바람의종 2011.11.14 11009
2171 겨울올림픽 바람의종 2011.11.15 8857
2170 자(字) 바람의종 2011.11.15 10774
2169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94
2168 육상대회 바람의종 2011.11.16 11119
2167 짜장면과 오뎅 바람의종 2011.11.17 11314
2166 볏과 벼슬 바람의종 2011.11.17 11623
2165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70
2164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828
2163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97
2162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404
2161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5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