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091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지개를 펴다, 피해를 입다

따스한 봄바람을 타고 만물이 기지개를 켜고 있건만 움츠러든 우리의 가슴은 쉽게 펴지지 않고 있다. 세계 경제는 호황을 누리고 있으나 유독 우리나라만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선거를 통해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제거됐으니 우리 경제도 이제 기지개를 켰으면 하는 것이 모두의 바람이다. '기지개를 켜다'는 몸을 쭉 펴고 팔다리를 뻗음으로써 신체를 유연하고 활기차게 하는 것을 말한다. 경제에 있어서는 소비와 투자 심리가 살아나는 등 본격적인 회생 움직임을 보이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일상적으로는 '기지개를 켠다'보다 '기지개를 편다'는 말을 많이 쓴다. 몸을 펴고 팔다리를 뻗는 동작이 '기지개'이므로 '기지개를 편다'는 표현이 이상할 게 없어 보이지만 '기지개를 켠다'가 더 어울리는 말이다. '켜다'에는 '불을 붙이거나 밝히다' '물 등을 단숨에 들이마시다' '톱질하여 나무를 쪼개다' 등 여러 가지 뜻이 있으나, 특별히 '기지개'와 함께 쓰여 '팔다리나 네 다리를 쭉 뻗으며 몸을 펴다'는 의미가 있다. '기지개'에 '몸을 펴다'는 뜻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펴다'보다 '켜다'와 어울려 쓰이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처럼 의미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단어를 가려 쓰는 경우가 있다. '앙금'은 녹말 등의 부드러운 가루가 물에 가라앉아 생긴 층으로, '앙금이 가라앉다'보다 '앙금이 생기다'가 적절한 표현이다. '피해(被害)'도 '해를 입음'을 뜻하므로 '피해를 입다'보다 '피해를 보다' 또는 '피해를 당하다'가 잘 어울리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9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393
1280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800
1279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805
1278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806
1277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811
1276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819
1275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24
1274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826
1273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826
1272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28
1271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829
1270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830
1269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831
1268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835
1267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38
1266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839
1265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42
1264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42
1263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843
1262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844
1261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855
1260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862
1259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