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86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늑장, 늦장/터뜨리다, 터트리다/가뭄, 가물

무슨 일을 관련자가 늦게 처리해 큰일이 발생했을 때 자주 접하는 말이 '늑장'입니다. '늑장 행정이 또다시 인재(人災) 불러'와 같은 표현을 예로 들 수 있지요. 이 경우 '늑장'은 '늦장'을 잘못 쓴 것이 아닌가 의심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일을 늦게 처리해 사고가 생겼으니까 늦장만 맞고 늑장은 틀렸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늑장'과 '늦장'은 복수 표준어입니다. 홍수가 무너뜨린 제방을 다음해까지 제대로 복구하지 않고 있다가 장마철을 앞두고 대충 마무리한 것이 다시 큰물에 쓸려가 큰 피해를 봤다면 이는 늑장 행정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같은 피해 사실을 글로 표현할 경우 '큰물이 제방을 무너뜨렸다'와 '큰물이 제방을 무너트렸다' 둘 중 어느 것이 맞는 걸까요. 어느 것을 써야 할까 고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뜨리다'와 '-트리다' 역시 복수 표준어이기 때문입니다. '터뜨리다/터트리다' '퍼뜨리다/퍼트리다' '깨뜨리다/깨트리다'등이 이런 예입니다. 비가 너무 많이 와도 문제지만 너무 안 와도 곤란하지요. 비가 모자람을 뜻하는 '가뭄'과 '가물'도 모두 표준어입니다. 봄철에 가물이 들면 농사에 지장이 많고 산불도 우려됩니다. 봄에는 바람이 많고 아직 나무에 충분히 물이 오르지 않아 불이 나면 쉽게 번지니까요.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올해는 가뭄·홍수에 미리 대비해 '늑장 대처'라는 말이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98
2556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04
2555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23
2554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310
2553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630
2552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066
2551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831
2550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588
2549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13
2548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55
2547 우려먹다(울궈먹다) 바람의종 2007.03.03 14043
2546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11
2545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27
2544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885
2543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36
2542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56
2541 용수철 바람의종 2012.01.23 11201
2540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7026
2539 바람의종 2008.08.21 7286
2538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70
2537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911
2536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86
2535 요, 오 風磬 2006.09.09 20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