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4:01

간(間)의 띄어쓰기

조회 수 1157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間)의 띄어쓰기

4·15 총선이 끝났다. 지난 대선 이후 '일 년간' 유지됐던 '여야 간'이나 '보수와 진보 간' 대결 구도를 말끔히 씻어버리자. 국민은 먹고살 일을 걱정하고 있다. 이제는 '서로 간'에 화합의 길로 나아가 국민의 에너지를 한 곳에 결집해 민생 경제를 살릴 때다. 앞글에서처럼 '간(間)'은 우리말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그 쓰임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어떻게 띄어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다. 간단히 정리해 보자. '간(間)'이 '길이'(한 간은 여섯 자)나 '넓이'(한 간은 보통 여섯 자 제곱)의 단위, '사이'(서울과 부산 간)나 '관계'(부모와 자식 간)의 뜻일 때는 의존명사여서 띄어 쓴다. 또한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간에 열심히만 해라/그녀가 나를 좋아하거나 말거나 간에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의존명사다.

반면 '-간(間)'이 기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동안'(이틀간, 한 달간)을 나타내거나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장소'(대장간, 외양간)의 뜻일 때는 접미사로 앞말에 붙여 쓴다. 그러나 위의 구분이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년간, 고부간, 다소간, 동기간, 부부간, 부자간, 인척간' 등처럼 한 단어로 인정돼 사전에 올라 있는 경우는 붙여 쓴다. 이들 중 '다년간'은 기간을 나타내므로 위 구분을 적용해도 띄어쓰기에 어긋나지 않지만, 나머지는 앞의 구분과 달리 붙여 써야 한다. 이런 단어는 외울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30
2776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83
»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79
2774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579
2773 닐리리, 하니바람, 띠어쓰기, 무니 바람의종 2009.11.15 11575
2772 겁나게 퉁겁지라! 바람의종 2010.05.11 11573
2771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67
2770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566
2769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562
2768 동냥 바람의종 2010.04.24 11559
2767 자그마치 바람의종 2007.03.16 11557
2766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553
2765 꺼려하다, 꺼리다 바람의종 2011.12.27 11551
2764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51
2763 노닐다 바람의종 2010.08.25 11550
2762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48
2761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527
2760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25
2759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23
2758 표준 언어 예절 바람의종 2012.03.27 11521
2757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509
2756 호스테스 바람의종 2008.02.20 11498
2755 맛탕, 마탕 바람의종 2010.11.25 114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