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4:01

간(間)의 띄어쓰기

조회 수 1166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間)의 띄어쓰기

4·15 총선이 끝났다. 지난 대선 이후 '일 년간' 유지됐던 '여야 간'이나 '보수와 진보 간' 대결 구도를 말끔히 씻어버리자. 국민은 먹고살 일을 걱정하고 있다. 이제는 '서로 간'에 화합의 길로 나아가 국민의 에너지를 한 곳에 결집해 민생 경제를 살릴 때다. 앞글에서처럼 '간(間)'은 우리말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그 쓰임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어떻게 띄어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다. 간단히 정리해 보자. '간(間)'이 '길이'(한 간은 여섯 자)나 '넓이'(한 간은 보통 여섯 자 제곱)의 단위, '사이'(서울과 부산 간)나 '관계'(부모와 자식 간)의 뜻일 때는 의존명사여서 띄어 쓴다. 또한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간에 열심히만 해라/그녀가 나를 좋아하거나 말거나 간에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의존명사다.

반면 '-간(間)'이 기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동안'(이틀간, 한 달간)을 나타내거나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장소'(대장간, 외양간)의 뜻일 때는 접미사로 앞말에 붙여 쓴다. 그러나 위의 구분이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년간, 고부간, 다소간, 동기간, 부부간, 부자간, 인척간' 등처럼 한 단어로 인정돼 사전에 올라 있는 경우는 붙여 쓴다. 이들 중 '다년간'은 기간을 나타내므로 위 구분을 적용해도 띄어쓰기에 어긋나지 않지만, 나머지는 앞의 구분과 달리 붙여 써야 한다. 이런 단어는 외울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47
1280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93
1279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24
1278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49
1277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57
1276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31
1275 금시에, 금세, 금새, 그새 바람의종 2010.03.13 15210
1274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91
1273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27
1272 정오(正誤) 바람의종 2010.03.13 11181
1271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80
1270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47
1269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20
1268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210
1267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23
1266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717
1265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52
1264 애끊다와 애끓다 바람의종 2010.03.15 13164
1263 쥬스는 주스 바람의종 2010.03.15 11277
1262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242
1261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3
1260 오솜소리 나갔지비 바람의종 2010.03.16 12463
1259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