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4:01

간(間)의 띄어쓰기

조회 수 1166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間)의 띄어쓰기

4·15 총선이 끝났다. 지난 대선 이후 '일 년간' 유지됐던 '여야 간'이나 '보수와 진보 간' 대결 구도를 말끔히 씻어버리자. 국민은 먹고살 일을 걱정하고 있다. 이제는 '서로 간'에 화합의 길로 나아가 국민의 에너지를 한 곳에 결집해 민생 경제를 살릴 때다. 앞글에서처럼 '간(間)'은 우리말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그 쓰임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어떻게 띄어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다. 간단히 정리해 보자. '간(間)'이 '길이'(한 간은 여섯 자)나 '넓이'(한 간은 보통 여섯 자 제곱)의 단위, '사이'(서울과 부산 간)나 '관계'(부모와 자식 간)의 뜻일 때는 의존명사여서 띄어 쓴다. 또한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간에 열심히만 해라/그녀가 나를 좋아하거나 말거나 간에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의존명사다.

반면 '-간(間)'이 기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동안'(이틀간, 한 달간)을 나타내거나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장소'(대장간, 외양간)의 뜻일 때는 접미사로 앞말에 붙여 쓴다. 그러나 위의 구분이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년간, 고부간, 다소간, 동기간, 부부간, 부자간, 인척간' 등처럼 한 단어로 인정돼 사전에 올라 있는 경우는 붙여 쓴다. 이들 중 '다년간'은 기간을 나타내므로 위 구분을 적용해도 띄어쓰기에 어긋나지 않지만, 나머지는 앞의 구분과 달리 붙여 써야 한다. 이런 단어는 외울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16
1280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800
1279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805
1278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806
1277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811
1276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819
1275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24
1274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826
1273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826
1272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28
1271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829
1270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830
1269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831
1268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835
1267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38
1266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839
1265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42
1264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42
1263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843
1262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844
1261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855
1260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862
1259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