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4:01

간(間)의 띄어쓰기

조회 수 1165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間)의 띄어쓰기

4·15 총선이 끝났다. 지난 대선 이후 '일 년간' 유지됐던 '여야 간'이나 '보수와 진보 간' 대결 구도를 말끔히 씻어버리자. 국민은 먹고살 일을 걱정하고 있다. 이제는 '서로 간'에 화합의 길로 나아가 국민의 에너지를 한 곳에 결집해 민생 경제를 살릴 때다. 앞글에서처럼 '간(間)'은 우리말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그 쓰임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어떻게 띄어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다. 간단히 정리해 보자. '간(間)'이 '길이'(한 간은 여섯 자)나 '넓이'(한 간은 보통 여섯 자 제곱)의 단위, '사이'(서울과 부산 간)나 '관계'(부모와 자식 간)의 뜻일 때는 의존명사여서 띄어 쓴다. 또한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간에 열심히만 해라/그녀가 나를 좋아하거나 말거나 간에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의존명사다.

반면 '-간(間)'이 기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동안'(이틀간, 한 달간)을 나타내거나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장소'(대장간, 외양간)의 뜻일 때는 접미사로 앞말에 붙여 쓴다. 그러나 위의 구분이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년간, 고부간, 다소간, 동기간, 부부간, 부자간, 인척간' 등처럼 한 단어로 인정돼 사전에 올라 있는 경우는 붙여 쓴다. 이들 중 '다년간'은 기간을 나타내므로 위 구분을 적용해도 띄어쓰기에 어긋나지 않지만, 나머지는 앞의 구분과 달리 붙여 써야 한다. 이런 단어는 외울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2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7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690
1390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31
1389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32
1388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37
1387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6
1386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547
1385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47
1384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47
1383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49
1382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3
138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7
1380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57
1379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59
1378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1377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566
1376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71
1375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2
137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5
1373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86
1372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90
1371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370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94
1369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