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4:01

간(間)의 띄어쓰기

조회 수 1159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間)의 띄어쓰기

4·15 총선이 끝났다. 지난 대선 이후 '일 년간' 유지됐던 '여야 간'이나 '보수와 진보 간' 대결 구도를 말끔히 씻어버리자. 국민은 먹고살 일을 걱정하고 있다. 이제는 '서로 간'에 화합의 길로 나아가 국민의 에너지를 한 곳에 결집해 민생 경제를 살릴 때다. 앞글에서처럼 '간(間)'은 우리말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그 쓰임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어떻게 띄어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다. 간단히 정리해 보자. '간(間)'이 '길이'(한 간은 여섯 자)나 '넓이'(한 간은 보통 여섯 자 제곱)의 단위, '사이'(서울과 부산 간)나 '관계'(부모와 자식 간)의 뜻일 때는 의존명사여서 띄어 쓴다. 또한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간에 열심히만 해라/그녀가 나를 좋아하거나 말거나 간에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의존명사다.

반면 '-간(間)'이 기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동안'(이틀간, 한 달간)을 나타내거나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장소'(대장간, 외양간)의 뜻일 때는 접미사로 앞말에 붙여 쓴다. 그러나 위의 구분이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년간, 고부간, 다소간, 동기간, 부부간, 부자간, 인척간' 등처럼 한 단어로 인정돼 사전에 올라 있는 경우는 붙여 쓴다. 이들 중 '다년간'은 기간을 나타내므로 위 구분을 적용해도 띄어쓰기에 어긋나지 않지만, 나머지는 앞의 구분과 달리 붙여 써야 한다. 이런 단어는 외울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567
2160 늑장, 늦장/터뜨리다, 터트리다/가뭄, 가물 바람의종 2008.12.27 13915
»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92
2158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229
2157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73
2156 운명, 유명 바람의종 2008.12.26 8922
2155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93
2154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45
2153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74
2152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0
2151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691
2150 오손도손, 단촐하다 바람의종 2008.12.17 11753
2149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37
2148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098
2147 앙징맞다 / 한자어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08.12.15 10704
2146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바람의종 2008.12.15 14005
2145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75
2144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98
2143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9993
2142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896
2141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25
2140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922
2139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