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3:58

쌓인, 싸인

조회 수 23154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쌓인, 싸인

'책을 쌓다'와 '책을 싸다'의 의미를 구별하기는 어렵지 않다. '쌓다'는 '여러 개의 물건을 겹겹이 포개어 얹어 놓다'라는 뜻이고 '싸다'는 '물건을 안에 넣고 씌워 가리거나 둘러 말다' 또는 '어떤 물체의 주위를 가리거나 막다'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 두 낱말 앞에 '둘러'를 붙여 '둘러쌓다' '둘러싸다'가 되면 잘못 쓰는 사람이 많이 생긴다. 특히 피동 형태로 쓸 때 틀리는 일이 흔하다.

하지만 '김장독을 비닐로 둘러싸다' '집 주위에 담을 둘러쌓다'에서 보듯이 '둘러'가 붙어도 원래의 '쌓다'와 '싸다'의 의미는 달라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문맥을 살펴서 '쌓다'와 '싸다' 중 어느 쪽인지 판단하면 된다.

'총선을 맞아 남한강으로 둘러쌓인 도담마을의 유권자들도 강을 건너가 주권을 행사했다.' '국회 소추인단의 한병채 변호사가 기자들에게 둘러쌓인 채 질문을 받고 있다.' 위의 예문을 간단하게 줄여 '쌓다'와 '싸다' 중 어느 쪽의 뜻인지 알아보자. '남한강이 도담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남한강이 도담마을을 쌓고 있다.' 전자가 바르다. '기자들이 한변호사를 (둘러)싸고 있다.' '기자들이 한변호사를 쌓고 있다.' 이 예문도 마찬가지로 전자가 옳다. 둘 다 '쌓다'로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이것을 피동 형태로 간단히 표현하면 '남한강에 둘러싸인 도담마을' '기자들에게 둘러싸인 한변호사'가 된다. 실제 생활에서 '둘러쌓인'보다는 '둘러싸인'을 써야 할 경우가 훨씬 많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46
1390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2
1389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64
1388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465
1387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67
1386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75
1385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481
1384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84
1383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486
1382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92
1381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493
1380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496
1379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496
1378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04
1377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510
1376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11
1375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11
1374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4
137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1
1372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521
1371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21
1370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22
1369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