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3:58

쌓인, 싸인

조회 수 23249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쌓인, 싸인

'책을 쌓다'와 '책을 싸다'의 의미를 구별하기는 어렵지 않다. '쌓다'는 '여러 개의 물건을 겹겹이 포개어 얹어 놓다'라는 뜻이고 '싸다'는 '물건을 안에 넣고 씌워 가리거나 둘러 말다' 또는 '어떤 물체의 주위를 가리거나 막다'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 두 낱말 앞에 '둘러'를 붙여 '둘러쌓다' '둘러싸다'가 되면 잘못 쓰는 사람이 많이 생긴다. 특히 피동 형태로 쓸 때 틀리는 일이 흔하다.

하지만 '김장독을 비닐로 둘러싸다' '집 주위에 담을 둘러쌓다'에서 보듯이 '둘러'가 붙어도 원래의 '쌓다'와 '싸다'의 의미는 달라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문맥을 살펴서 '쌓다'와 '싸다' 중 어느 쪽인지 판단하면 된다.

'총선을 맞아 남한강으로 둘러쌓인 도담마을의 유권자들도 강을 건너가 주권을 행사했다.' '국회 소추인단의 한병채 변호사가 기자들에게 둘러쌓인 채 질문을 받고 있다.' 위의 예문을 간단하게 줄여 '쌓다'와 '싸다' 중 어느 쪽의 뜻인지 알아보자. '남한강이 도담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남한강이 도담마을을 쌓고 있다.' 전자가 바르다. '기자들이 한변호사를 (둘러)싸고 있다.' '기자들이 한변호사를 쌓고 있다.' 이 예문도 마찬가지로 전자가 옳다. 둘 다 '쌓다'로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이것을 피동 형태로 간단히 표현하면 '남한강에 둘러싸인 도담마을' '기자들에게 둘러싸인 한변호사'가 된다. 실제 생활에서 '둘러쌓인'보다는 '둘러싸인'을 써야 할 경우가 훨씬 많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6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1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081
2116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875
2115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77
2114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78
2113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881
2112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82
2111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83
2110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84
2109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86
2108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86
2107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891
2106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895
2105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05
2104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907
2103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908
2102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909
2101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10
2100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2
2099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914
2098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14
2097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15
2096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7
2095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9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