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8 02:39

돋힌

조회 수 9155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돋힌

'어머니께서 가시가 송송 '돋힌' 청미래덩굴의 새순을 꺾는다. 그것도 나물로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본격적인 황사철을 맞아 백화점과 할인점에서 공기청정기가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

위의 예문에서 보듯이 '돋힌'과 '돋친'은 비슷한 빈도로 쓰이고 있어 둘 다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돋힌'은 바르지 않은 말이며 '돋친'으로 쓰는 게 옳다. 왜 그런지 알아보자. 타동사에 '-이-' '-히-' '-리-' '-기-'와 같은 접미사를 붙이면 피동 표현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꽃을 보다'가 '꽃이 보이다'로, '토끼를 잡다'가 '토끼가 잡히다'로, '노래를 듣다'가 '노래가 들리다'로, '실을 끊다'가 '실이 끊기다'로 바뀐다. '돋힌'이 맞다고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피동 표현 중 하나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돋다'는 타동사가 아니라 '-이 돋다'의 형태로 쓰이는 자동사이므로 접미사 '-히-'를 붙여 피동으로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돋힌'으로 쓰면 안 된다. 그러면 '돋다'에서 활용해 '가시 돋은 청미래덩굴의 새순'처럼 써야 할 터인데 왜 '돋친'으로 썼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겠다. '돋치다'는 '돋다'에 강조를 뜻하는 접미사 '-치-'가 붙은 것이다. 그래서 '가시 돋은'보다는 '가시 돋친'의 어감이 더 강하다. 이처럼 '치'가 붙은 강세어로는 '넘치다(넘다) ,밀치다(밀다), 부딪치다(부딪다), 밭치다(밭다)' 등을 더 들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30
1060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616
1059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70
1058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697
1057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917
1056 돌팔이 風磬 2006.11.16 8119
1055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75
1054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680
1053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63
1052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48
1051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49
»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5
1049 돋우다와 돋구다 바람의종 2010.03.22 13775
1048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85
1047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93
1046 돈까스 바람의종 2008.02.05 8864
104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0
1044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90
1043 風磬 2006.11.06 6911
1042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41
1041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36
1040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697
1039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