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8 02:39

돋힌

조회 수 9139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돋힌

'어머니께서 가시가 송송 '돋힌' 청미래덩굴의 새순을 꺾는다. 그것도 나물로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본격적인 황사철을 맞아 백화점과 할인점에서 공기청정기가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

위의 예문에서 보듯이 '돋힌'과 '돋친'은 비슷한 빈도로 쓰이고 있어 둘 다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돋힌'은 바르지 않은 말이며 '돋친'으로 쓰는 게 옳다. 왜 그런지 알아보자. 타동사에 '-이-' '-히-' '-리-' '-기-'와 같은 접미사를 붙이면 피동 표현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꽃을 보다'가 '꽃이 보이다'로, '토끼를 잡다'가 '토끼가 잡히다'로, '노래를 듣다'가 '노래가 들리다'로, '실을 끊다'가 '실이 끊기다'로 바뀐다. '돋힌'이 맞다고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피동 표현 중 하나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돋다'는 타동사가 아니라 '-이 돋다'의 형태로 쓰이는 자동사이므로 접미사 '-히-'를 붙여 피동으로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돋힌'으로 쓰면 안 된다. 그러면 '돋다'에서 활용해 '가시 돋은 청미래덩굴의 새순'처럼 써야 할 터인데 왜 '돋친'으로 썼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겠다. '돋치다'는 '돋다'에 강조를 뜻하는 접미사 '-치-'가 붙은 것이다. 그래서 '가시 돋은'보다는 '가시 돋친'의 어감이 더 강하다. 이처럼 '치'가 붙은 강세어로는 '넘치다(넘다) ,밀치다(밀다), 부딪치다(부딪다), 밭치다(밭다)' 등을 더 들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3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99
2182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42
2181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186
2180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21
2179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106
2178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47
2177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87
2176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979
2175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78
2174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360
2173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45
2172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73
2171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595
2170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326
2169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190
2168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396
2167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334
2166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90
2165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595
2164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1112
2163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23
2162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42
2161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