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8 02:37

상채기, 상흔, 생재기

조회 수 9855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상채기

희로애락(喜怒哀樂). 인간의 온갖 감정을 일컫는 말이다. 그중에서도 분노와 슬픔은 마음에 입는 상처(傷處)에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과 부대끼면서 살다 보면 이래저래 상처를 입게 된다. '상처'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 우리말은 무얼까. '오늘 아침에 면도를 하다가 턱밑에 상채기가 났다.' '새로 산 장롱을 둘이서 옮기다가 그만 상채기를 내고 말았다.' 흔히 쓰는 '상채기'는 바른말이 아니다. '생채기'로 써야 한다. '손톱 등의 가늘고 날카로운 끝에 긁히거나 할퀴어 생긴 작은 상처'를 의미한다. 한자어 '상처'의 '상'에 이끌려서 '상채기'로 쓰는 듯한데 잘못이다.

'상처가 아문 자리에 남은 흔적이나 자국'을 '상흔(傷痕)'또는 '흉터'라고 한다. '상흔'은 중립적이지만 '흉터'는 좋지 않은 어감이 있다. '생채기'와 점 하나 차이밖에 없는 '생재기'란 말이 있는데, 이는 '종이나 피륙 따위의 성한 부분. 또는 자투리가 아닌 부분'을 이르는 말이다. '내가 보기에 그것은 생재기인데 그냥 버리기엔 너무 아까운걸''다 떨어진 헌옷을 깁자고 생재기를 잘라내자는 말이냐?'처럼 쓰인다.

몸에 난 상처는 약으로 치료하면 낫는다. 그러나 마음에 입은 상처는 쉽사리 가시지 않는 법이다. '사람들은 작은 상처는 오래 기억하고 큰 은혜는 얼른 망각해 버린다. 상처는 꼭 받아야 할 빚이라고 생각하고, 은혜는 꼭 돌려주지 않아도 될 빚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양귀자의 '모순'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28
1302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96
1301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74
1300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48
1299 나무 이름표 바람의종 2012.04.20 11084
1298 현수막, 펼침막 바람의종 2012.04.19 11692
1297 네가지, 싸가지 바람의종 2012.04.19 12545
1296 광안리 바람의종 2012.04.19 12343
129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43
1294 표준 언어 예절 바람의종 2012.03.27 11536
1293 성+ 이름 바람의종 2012.03.27 11164
1292 의사와 열사 바람의종 2012.03.02 12278
1291 마탄의 사수 바람의종 2012.03.02 11244
1290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45
1289 외래어 / 외국어 바람의종 2012.02.28 12134
1288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98
1287 용수철 바람의종 2012.01.23 11214
1286 다른그림찾기 바람의종 2012.01.19 10324
1285 '연륙교'의 발음은? 바람의종 2012.01.06 10790
1284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12.01.06 10511
1283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94
1282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74
1281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바람의종 2011.12.04 102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