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8 02:37

상채기, 상흔, 생재기

조회 수 983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상채기

희로애락(喜怒哀樂). 인간의 온갖 감정을 일컫는 말이다. 그중에서도 분노와 슬픔은 마음에 입는 상처(傷處)에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과 부대끼면서 살다 보면 이래저래 상처를 입게 된다. '상처'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 우리말은 무얼까. '오늘 아침에 면도를 하다가 턱밑에 상채기가 났다.' '새로 산 장롱을 둘이서 옮기다가 그만 상채기를 내고 말았다.' 흔히 쓰는 '상채기'는 바른말이 아니다. '생채기'로 써야 한다. '손톱 등의 가늘고 날카로운 끝에 긁히거나 할퀴어 생긴 작은 상처'를 의미한다. 한자어 '상처'의 '상'에 이끌려서 '상채기'로 쓰는 듯한데 잘못이다.

'상처가 아문 자리에 남은 흔적이나 자국'을 '상흔(傷痕)'또는 '흉터'라고 한다. '상흔'은 중립적이지만 '흉터'는 좋지 않은 어감이 있다. '생채기'와 점 하나 차이밖에 없는 '생재기'란 말이 있는데, 이는 '종이나 피륙 따위의 성한 부분. 또는 자투리가 아닌 부분'을 이르는 말이다. '내가 보기에 그것은 생재기인데 그냥 버리기엔 너무 아까운걸''다 떨어진 헌옷을 깁자고 생재기를 잘라내자는 말이냐?'처럼 쓰인다.

몸에 난 상처는 약으로 치료하면 낫는다. 그러나 마음에 입은 상처는 쉽사리 가시지 않는 법이다. '사람들은 작은 상처는 오래 기억하고 큰 은혜는 얼른 망각해 버린다. 상처는 꼭 받아야 할 빚이라고 생각하고, 은혜는 꼭 돌려주지 않아도 될 빚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양귀자의 '모순'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0
1851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5975
1850 샅샅이 風磬 2006.12.29 6489
1849 상피 붙다 바람의종 2007.05.12 14729
1848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87
»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38
1846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657
1845 상석 風文 2023.12.05 1266
1844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939
1843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73
1842 상봉, 조우, 해후 바람의종 2012.12.17 22049
1841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37
1840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239
1839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63
1838 삿대질 風磬 2006.12.29 7015
1837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8033
1836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37
1835 삼팔 따라지 바람의종 2008.02.24 10473
1834 삼촌, 서방님, 동서 바람의종 2009.05.02 11127
1833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162
1832 삼천포로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17 11653
1831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