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8 02:37

상채기, 상흔, 생재기

조회 수 988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상채기

희로애락(喜怒哀樂). 인간의 온갖 감정을 일컫는 말이다. 그중에서도 분노와 슬픔은 마음에 입는 상처(傷處)에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과 부대끼면서 살다 보면 이래저래 상처를 입게 된다. '상처'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 우리말은 무얼까. '오늘 아침에 면도를 하다가 턱밑에 상채기가 났다.' '새로 산 장롱을 둘이서 옮기다가 그만 상채기를 내고 말았다.' 흔히 쓰는 '상채기'는 바른말이 아니다. '생채기'로 써야 한다. '손톱 등의 가늘고 날카로운 끝에 긁히거나 할퀴어 생긴 작은 상처'를 의미한다. 한자어 '상처'의 '상'에 이끌려서 '상채기'로 쓰는 듯한데 잘못이다.

'상처가 아문 자리에 남은 흔적이나 자국'을 '상흔(傷痕)'또는 '흉터'라고 한다. '상흔'은 중립적이지만 '흉터'는 좋지 않은 어감이 있다. '생채기'와 점 하나 차이밖에 없는 '생재기'란 말이 있는데, 이는 '종이나 피륙 따위의 성한 부분. 또는 자투리가 아닌 부분'을 이르는 말이다. '내가 보기에 그것은 생재기인데 그냥 버리기엔 너무 아까운걸''다 떨어진 헌옷을 깁자고 생재기를 잘라내자는 말이냐?'처럼 쓰인다.

몸에 난 상처는 약으로 치료하면 낫는다. 그러나 마음에 입은 상처는 쉽사리 가시지 않는 법이다. '사람들은 작은 상처는 오래 기억하고 큰 은혜는 얼른 망각해 버린다. 상처는 꼭 받아야 할 빚이라고 생각하고, 은혜는 꼭 돌려주지 않아도 될 빚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양귀자의 '모순'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0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38
1236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895
1235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2
1234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905
1233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905
1232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05
1231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905
1230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907
1229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910
1228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12
1227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20
1226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20
1225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22
1224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23
1223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4
1222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931
1221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933
1220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33
1219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34
1218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935
1217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37
1216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939
1215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