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7 03:23

뀌띰, 괜시레

조회 수 9674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뀌띰, 괜시레

'그는 옆 동네 사람들을 조심해야 할 것이라는 친구의 '귀띰'에 고개를 저었다./ 그녀는 친구인 내게 그런 일은 '귀뜸'조차 하지 않았다./ 그는 나에게 빨리 자리를 피하라고 '귀뜀'해 주었다.' 앞글에서 볼 수 있듯이 눈치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미리 일깨워 준다는 의미의 '귀띔(하다)'을 '귀띰''귀뜸''귀뜀'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중모음 'ㅢ'의 발음을 잘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한 듯하다. '귀띔'을 분석하면 '귀+뜨이(다)+ㅁ→귀뜨임→귀띔'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뜨이다'는 '아이의 귀가 뜨이다'라는 예문에서 보듯이 '뜨다'의 피동사다. 그러므로 위의 분석을 풀이하면 '귀(가) 뜨이(게) 됨'이 된다. 이렇게 기억하면 '귀띔'을 잘못 쓰는 일이 없을 것이다.

'벚꽃이 필 때면 괜시리 가슴이 울렁거린다./ 모르는 체하고 더 엿들을 것을 괜스리 겁을 먹고 도망쳐 왔다./ 그녀는 엉거주춤한 남편의 태도가 괜시레 마음에 걸렸다.' 등의 글에서 보이는 '괜시리''괜스리''괜시레' 또한 맞춤법에 어긋난다. '괜스레'로 써야 옳다. '괜스레'는 까닭이나 실속이 없는 데가 있다는 뜻의 형용사 '괜하다'(괜한 일로 시간만 보내다/ 괜한 짓 하지 마라)의 어근 '괜-'에 '-스럽다'가 붙은 '괜스럽다'의 부사형이다. '-스럽다'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러한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공연스럽다(空然-)'의 부사형인 '공연스레'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3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34
»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674
1301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675
1300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676
1299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76
1298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77
1297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681
1296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07.12.30 9682
1295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684
1294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686
1293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686
1292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689
1291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691
1290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696
1289 밧다리, 밭다리, 받다리 바람의종 2010.08.06 9696
1288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00
1287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04
1286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04
1285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05
1284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06
1283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707
1282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07
1281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