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7 03:23

뀌띰, 괜시레

조회 수 9698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뀌띰, 괜시레

'그는 옆 동네 사람들을 조심해야 할 것이라는 친구의 '귀띰'에 고개를 저었다./ 그녀는 친구인 내게 그런 일은 '귀뜸'조차 하지 않았다./ 그는 나에게 빨리 자리를 피하라고 '귀뜀'해 주었다.' 앞글에서 볼 수 있듯이 눈치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미리 일깨워 준다는 의미의 '귀띔(하다)'을 '귀띰''귀뜸''귀뜀'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중모음 'ㅢ'의 발음을 잘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한 듯하다. '귀띔'을 분석하면 '귀+뜨이(다)+ㅁ→귀뜨임→귀띔'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뜨이다'는 '아이의 귀가 뜨이다'라는 예문에서 보듯이 '뜨다'의 피동사다. 그러므로 위의 분석을 풀이하면 '귀(가) 뜨이(게) 됨'이 된다. 이렇게 기억하면 '귀띔'을 잘못 쓰는 일이 없을 것이다.

'벚꽃이 필 때면 괜시리 가슴이 울렁거린다./ 모르는 체하고 더 엿들을 것을 괜스리 겁을 먹고 도망쳐 왔다./ 그녀는 엉거주춤한 남편의 태도가 괜시레 마음에 걸렸다.' 등의 글에서 보이는 '괜시리''괜스리''괜시레' 또한 맞춤법에 어긋난다. '괜스레'로 써야 옳다. '괜스레'는 까닭이나 실속이 없는 데가 있다는 뜻의 형용사 '괜하다'(괜한 일로 시간만 보내다/ 괜한 짓 하지 마라)의 어근 '괜-'에 '-스럽다'가 붙은 '괜스럽다'의 부사형이다. '-스럽다'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러한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공연스럽다(空然-)'의 부사형인 '공연스레'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655
2732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63
2731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209
2730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940
2729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252
2728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3
2727 꽈리 바람의종 2007.12.30 10837
2726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66
2725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8058
2724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33
2723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79
2722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464
2721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80
2720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97
»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698
2718 끄적, 끼적, 깔짝, 깨작 바람의종 2010.05.30 12367
2717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301
2716 끊을래야/끊으려야, 뗄래야/떼려야, 먹을래야/먹으려야 바람의종 2008.06.05 9955
2715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847
2714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731
2713 끼여들기 바람의종 2008.10.31 9071
2712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19
2711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3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