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7 03:23

뀌띰, 괜시레

조회 수 9691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뀌띰, 괜시레

'그는 옆 동네 사람들을 조심해야 할 것이라는 친구의 '귀띰'에 고개를 저었다./ 그녀는 친구인 내게 그런 일은 '귀뜸'조차 하지 않았다./ 그는 나에게 빨리 자리를 피하라고 '귀뜀'해 주었다.' 앞글에서 볼 수 있듯이 눈치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미리 일깨워 준다는 의미의 '귀띔(하다)'을 '귀띰''귀뜸''귀뜀'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중모음 'ㅢ'의 발음을 잘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한 듯하다. '귀띔'을 분석하면 '귀+뜨이(다)+ㅁ→귀뜨임→귀띔'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뜨이다'는 '아이의 귀가 뜨이다'라는 예문에서 보듯이 '뜨다'의 피동사다. 그러므로 위의 분석을 풀이하면 '귀(가) 뜨이(게) 됨'이 된다. 이렇게 기억하면 '귀띔'을 잘못 쓰는 일이 없을 것이다.

'벚꽃이 필 때면 괜시리 가슴이 울렁거린다./ 모르는 체하고 더 엿들을 것을 괜스리 겁을 먹고 도망쳐 왔다./ 그녀는 엉거주춤한 남편의 태도가 괜시레 마음에 걸렸다.' 등의 글에서 보이는 '괜시리''괜스리''괜시레' 또한 맞춤법에 어긋난다. '괜스레'로 써야 옳다. '괜스레'는 까닭이나 실속이 없는 데가 있다는 뜻의 형용사 '괜하다'(괜한 일로 시간만 보내다/ 괜한 짓 하지 마라)의 어근 '괜-'에 '-스럽다'가 붙은 '괜스럽다'의 부사형이다. '-스럽다'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러한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공연스럽다(空然-)'의 부사형인 '공연스레'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3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234
2182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19
2181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19
2180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17
2179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816
2178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12
2177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801
2176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01
2175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800
2174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797
2173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796
2172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94
2171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92
2170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90
2169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83
2168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83
2167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782
2166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81
2165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77
2164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74
2163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71
2162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70
2161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