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7 03:21

오손도손, 단촐하다

조회 수 1173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손도손, 단촐하다

거리 유세에 나선 선거 운동원들의 모습이 단출해졌다. 개정된 선거법에 따라 후보자 외엔 어깨띠를 두르지 못하고 유인물도 돌릴 수 없기 때문이다. 선거 운동원의 모습은 단출해졌지만 인력과 조직을 동원해 돈으로 밀어붙이는 구태에서 벗어나 깨끗한 선거를 치러보자는 국민적 열망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하다.

'단출하다'는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 홀가분하다''일이나 차림이 간편하다'는 뜻이다. 위의 예처럼 '선거 운동원이 단출히 거리 유세에 나섰다''살림이 단출하군요' 등으로 쓰인다. 그러나 '단촐하다'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심심찮게 접한다. 비슷한 예로 '오손도손'을 들 수 있다.'청주 꽃동네엔 정신지체 장애우 18명이 오손도손 살고 있다'라는 문장에서 '의좋게 지내거나 이야기하는 모양'을 가리키는 말은 '오순도순'이 바른 표기다. 이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우리말의 음운규칙인 모음조화를 지키려고 하는 습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요즘엔 의성어와 의태어, 어미 등을 제외하고는 모음조화 규칙이 많이 허물어지고 있다.

'소꿉장난(←소꼽장난)''발가숭이(←발가송이)''쌍둥이(←쌍동이)''오뚝이(←오똑이)' 등과 같이 양성모음이 음성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단어는 언어 현실을 감안해 음성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비교적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는 의성어와 의태어 중에서도 '오순도순'을 비롯, '싹둑싹둑''개굴개굴''깡충깡충' 등이 이러한 예로 분류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79
1302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674
1301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676
1300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76
1299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77
1298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679
1297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681
1296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07.12.30 9682
1295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684
1294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686
1293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686
1292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689
1291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691
1290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696
1289 밧다리, 밭다리, 받다리 바람의종 2010.08.06 9696
1288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01
1287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04
1286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04
1285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05
1284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06
1283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07
1282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708
1281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