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5 17:48

좀체로, 의례적

조회 수 17033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좀체로, 의례적

'막차는 좀체로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 시린 유리창마다 톱밥 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후략)' 이 시에서 쓰인 '좀체로'는 비표준어다. '좀처럼'이나 '좀체'로 써야 맞다. '좀처럼'은 주로 '않다' '못하다'와 같이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여 '여간해서는'을 의미하는 부사다. '좀처럼'을 '좀해' '좀해선'으로 쓰는 사람도 많은데 이것도 바른말이 아니다. '비가 좀처럼 멎을 것 같지 않았다' '향순이의 남편이 집을 비우는 일은 좀체 없었다' 등이 맞게 쓰인 용례다.

'좀체로'와 엇비슷하게 잘못 쓰는 말에 '으례'가 있다. '그동안 김 하면 으례 완도나 남해안을 떠올려 왔지만 최근에는 서해안에서도 김 양식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봄철이면 으례 밝고 화사한 옷이 유행하지만 이번 2004시즌엔 특히 1920년대 복고풍에서 영향을 받아 우아한 여성미를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들 문장에서 쓰인 '으례'는 '으레'로 바로잡아야 한다. '으레'는 '두말할 것 없이 당연히' 또는 '틀림없이 언제나'를 뜻한다. '으레'는 '의례(依例)'에서 온 말이다. 이것이 '으례'가 되었다가 '례'의 발음이 '레'로 바뀐 것이다. 표준어 규정 제10항은 '으례'와 '으레' 중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안녕하세요'는 매우 의례적인 인사말이다'에서 쓰인 '의례적(儀禮的)'은 '형식이나 격식만을 갖춘, 또는 그런 것'을 뜻하는 표준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60
1302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45
1301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67
1300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16
1299 나무 이름표 바람의종 2012.04.20 11078
1298 현수막, 펼침막 바람의종 2012.04.19 11649
1297 네가지, 싸가지 바람의종 2012.04.19 12528
1296 광안리 바람의종 2012.04.19 12323
129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27
1294 표준 언어 예절 바람의종 2012.03.27 11471
1293 성+ 이름 바람의종 2012.03.27 11158
1292 의사와 열사 바람의종 2012.03.02 12265
1291 마탄의 사수 바람의종 2012.03.02 11226
1290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37
1289 외래어 / 외국어 바람의종 2012.02.28 12118
1288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44
1287 용수철 바람의종 2012.01.23 11201
1286 다른그림찾기 바람의종 2012.01.19 10316
1285 '연륙교'의 발음은? 바람의종 2012.01.06 10742
1284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12.01.06 10489
1283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45
1282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26
1281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바람의종 2011.12.04 10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