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2 22:40

미이라, 링겔

조회 수 9220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이라, 링겔

'썩지 않고 건조돼 오랫동안 원래 상태에 가까운 모습으로 남아 있는 인간의 주검이나 동물의 사체'를 '미라'라고 한다. 사하라 지방 같은 건조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천연적인 것과 이집트 등지에서 방부제를 사용해 만든 인공적인 것 두 종류가 있다. 미라를 만드는 풍습은 고대 이집트·잉카제국 등지에서 성행했다. 이집트인들은 영혼이 부활한다고 믿었고, 영혼이 부활하려면 그것이 깃들일 육체가 보존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집트의 미라 제작은 이 신앙에서 유래한 것이다.

'미라'는 포르투갈어 'mirra'에서 온 말이다. 원래는 방부제의 이름이었다고 한다. 이 '미라'를 습관적으로 '미이라'로 쓰는데 이는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다. '장모음은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미라'로 적는 것이 옳다. 한편 몸이 쇠약해져 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또는 수술 전후에 일반적으로 주사로 맞는 체액의 대용액을 '링게르'나 '링겔'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링거'의 잘못이다. '링거'는 '링거액(液)'의 준말로 '링거스 솔루션(Ringer's Solution)'이라고도 한다. 이 '링거액'은 영국의 생리학자 시드니 링어(Sidney Ringer)가 1882년에 만든 것이다. 'Ringer'를 영어식으로 읽으면 '링어'가 돼야 할 텐데, 독일어식으로 읽은 '링거'로 굳어진 듯하다. 이 대용액을 만든 사람이 영국인이므로 당연히 영어식으로 읽어야 할 것이나 국어사전에 '링거'로 등재돼 있고, 표기법도 '링거'로 적고 있으므로 이를 따를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44
1302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7
1301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64
1300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74
1299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5103
1298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450
1297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993
1296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94
1295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910
1294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10027
»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20
1292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88
1291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바람의종 2008.12.15 14015
1290 앙징맞다 / 한자어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08.12.15 10723
1289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121
1288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44
1287 오손도손, 단촐하다 바람의종 2008.12.17 11769
1286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701
1285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3
1284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82
1283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5
1282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99
1281 운명, 유명 바람의종 2008.12.26 89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