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2 22:40

미이라, 링겔

조회 수 9204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이라, 링겔

'썩지 않고 건조돼 오랫동안 원래 상태에 가까운 모습으로 남아 있는 인간의 주검이나 동물의 사체'를 '미라'라고 한다. 사하라 지방 같은 건조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천연적인 것과 이집트 등지에서 방부제를 사용해 만든 인공적인 것 두 종류가 있다. 미라를 만드는 풍습은 고대 이집트·잉카제국 등지에서 성행했다. 이집트인들은 영혼이 부활한다고 믿었고, 영혼이 부활하려면 그것이 깃들일 육체가 보존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집트의 미라 제작은 이 신앙에서 유래한 것이다.

'미라'는 포르투갈어 'mirra'에서 온 말이다. 원래는 방부제의 이름이었다고 한다. 이 '미라'를 습관적으로 '미이라'로 쓰는데 이는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다. '장모음은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미라'로 적는 것이 옳다. 한편 몸이 쇠약해져 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또는 수술 전후에 일반적으로 주사로 맞는 체액의 대용액을 '링게르'나 '링겔'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링거'의 잘못이다. '링거'는 '링거액(液)'의 준말로 '링거스 솔루션(Ringer's Solution)'이라고도 한다. 이 '링거액'은 영국의 생리학자 시드니 링어(Sidney Ringer)가 1882년에 만든 것이다. 'Ringer'를 영어식으로 읽으면 '링어'가 돼야 할 텐데, 독일어식으로 읽은 '링거'로 굳어진 듯하다. 이 대용액을 만든 사람이 영국인이므로 당연히 영어식으로 읽어야 할 것이나 국어사전에 '링거'로 등재돼 있고, 표기법도 '링거'로 적고 있으므로 이를 따를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80
2006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41
2005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80
2004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527
200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38
2002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47
2001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908
2000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23
1999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41
1998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58
1997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93
1996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35
1995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282
1994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79
1993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68
1992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51
1991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4
199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56
1989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68
1988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1
1987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24
1986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00
1985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