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2 22:40

미이라, 링겔

조회 수 9173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이라, 링겔

'썩지 않고 건조돼 오랫동안 원래 상태에 가까운 모습으로 남아 있는 인간의 주검이나 동물의 사체'를 '미라'라고 한다. 사하라 지방 같은 건조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천연적인 것과 이집트 등지에서 방부제를 사용해 만든 인공적인 것 두 종류가 있다. 미라를 만드는 풍습은 고대 이집트·잉카제국 등지에서 성행했다. 이집트인들은 영혼이 부활한다고 믿었고, 영혼이 부활하려면 그것이 깃들일 육체가 보존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집트의 미라 제작은 이 신앙에서 유래한 것이다.

'미라'는 포르투갈어 'mirra'에서 온 말이다. 원래는 방부제의 이름이었다고 한다. 이 '미라'를 습관적으로 '미이라'로 쓰는데 이는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다. '장모음은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미라'로 적는 것이 옳다. 한편 몸이 쇠약해져 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또는 수술 전후에 일반적으로 주사로 맞는 체액의 대용액을 '링게르'나 '링겔'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링거'의 잘못이다. '링거'는 '링거액(液)'의 준말로 '링거스 솔루션(Ringer's Solution)'이라고도 한다. 이 '링거액'은 영국의 생리학자 시드니 링어(Sidney Ringer)가 1882년에 만든 것이다. 'Ringer'를 영어식으로 읽으면 '링어'가 돼야 할 텐데, 독일어식으로 읽은 '링거'로 굳어진 듯하다. 이 대용액을 만든 사람이 영국인이므로 당연히 영어식으로 읽어야 할 것이나 국어사전에 '링거'로 등재돼 있고, 표기법도 '링거'로 적고 있으므로 이를 따를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27
2006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68
2005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27
2004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007
2003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202
2002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36
2001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324
»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73
1999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10
1998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505
1997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483
1996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770
1995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03
1994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074
199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26
1992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540
1991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01
1990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63
1989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42
1988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02
1987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881
1986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478
1985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