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2 22:39

최대, 최다

조회 수 1000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최대, 최다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 단어로 '최대'와 '최다'가 있다. '최대(最大)'와 '최다(最多)'는 한자어로, 한자의 차이를 살펴보면 구분에 도움이 된다. '大'는 '큰 대'로 크기에 관한 것이고, '多'는 '많을 다'로 양(量)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최대'는 '가장 크다', '최다'는 '가장 많다'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 쓰임새에서는 크기와 양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최대'는 수·양·정도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반면 '최다'는 양·횟수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최대'는 '최대 속도/최대 용량/수용 인원 최대 30명/사상 최대의 무역 흑자/기량을 최대로 발휘하다/창당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 등 수·양·정도 모두에 광범하게 쓰인다.

'최다'는 '최다 득점/최다 홈런/최다 우승/최다 품목/최다 판매/최다 수혈자/최다 방문자' 등 주로 명사 앞에서 양이나 횟수 등에 쓰인다.

혼동해 쓰는 예를 보면 '최대 득표자가 누가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 영화사상 최대 관객을 기록했다' '최대 조회수를 기록한 글이다' 등으로 '최다'가 어울리는 자리에 '최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같은 문장에서 '최대'와 '최다'가 모두 쓰일 수 있는데 '이승엽이 최대의 홈런을 날렸다'고 하면 '가장 멀리 가는 홈런'을, '이승엽이 최다의 홈런을 날렸다'고 하면 '가장 많은 홈런'을 날렸다는 걸 뜻한다. '최대'와 '최다'의 반대말은 둘 다 '최소'이지만 한자는 '최소(最小)'와 '최소(最少)'로 다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65
308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736
308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745
3082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747
3081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748
3080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759
3079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64
3078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765
3077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776
3076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786
3075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787
3074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793
3073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796
3072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796
3071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797
3070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800
3069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801
3068 웨하스 / 염장 風文 2020.06.10 1807
3067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810
3066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817
3065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829
3064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831
3063 “김” 風文 2023.03.06 18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