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1 03:13

패이다

조회 수 1484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패이다

'빗물은 경사가 완만하거나 땅이 움푹 패여 있는 곳에서는 천천히 흐르고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빨리 흐른다'에서처럼 '파다'의 피동사인 '파이다'를 '패이다'로 잘못 쓰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파이다'를 줄이면 '패다'가 된다. '파이다'를 활용하면 '파여, 파인, 파였다'가 되고, '패다'를 활용하면 '패어, 팬, 패었다'가 된다. 따라서 위 문장의 '패여'는 '파여'로 하든가, '패어'로 해야 바르다.

'움푹 팬 곳에서는 물이 고이기도 하고 돌이 있으면 돌아서 흐른다'
'마당엔 상당히 깊은 구덩이가 파였다' 등도 바르게 쓰인 예다.

'패이다'와 비슷한 빈도(頻度)로 잘못 사용하는 말에 '채이다'가 있다.

'산마르코 광장은 비둘기들의 천국이었다. 정말로 비둘기가 발에 채였다'에서 '채였다'는 '차다'의 피동사인 '차이다'를 잘못 활용한 것이다. '차이다'를 줄이면 '채다'가 된다. 따라서 앞 문장의 '채였다'는 '차였다'나 '채었다'로 고쳐야 한다.

본딧말은 본딧말대로, 준말은 준말대로 활용된다고 생각하면 쉽다. 사회 구성원 간의 갈등이 첨예해지는 이런 때일수록 더더욱 관용(寬容)을 발휘해야 할 시기가 아닌가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54
2116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1097
2115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406
2114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4
2113 쑥맥, 쑥, 숙맥 바람의종 2010.07.23 12505
2112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867
2111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558
2110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580
2109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19
2108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12
2107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497
2106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33
2105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318
2104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64
2103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31
2102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280
2101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14
2100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3935
2099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51
2098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396
2097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690
2096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6978
2095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