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1 03:13

패이다

조회 수 1491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패이다

'빗물은 경사가 완만하거나 땅이 움푹 패여 있는 곳에서는 천천히 흐르고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빨리 흐른다'에서처럼 '파다'의 피동사인 '파이다'를 '패이다'로 잘못 쓰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파이다'를 줄이면 '패다'가 된다. '파이다'를 활용하면 '파여, 파인, 파였다'가 되고, '패다'를 활용하면 '패어, 팬, 패었다'가 된다. 따라서 위 문장의 '패여'는 '파여'로 하든가, '패어'로 해야 바르다.

'움푹 팬 곳에서는 물이 고이기도 하고 돌이 있으면 돌아서 흐른다'
'마당엔 상당히 깊은 구덩이가 파였다' 등도 바르게 쓰인 예다.

'패이다'와 비슷한 빈도(頻度)로 잘못 사용하는 말에 '채이다'가 있다.

'산마르코 광장은 비둘기들의 천국이었다. 정말로 비둘기가 발에 채였다'에서 '채였다'는 '차다'의 피동사인 '차이다'를 잘못 활용한 것이다. '차이다'를 줄이면 '채다'가 된다. 따라서 앞 문장의 '채였다'는 '차였다'나 '채었다'로 고쳐야 한다.

본딧말은 본딧말대로, 준말은 준말대로 활용된다고 생각하면 쉽다. 사회 구성원 간의 갈등이 첨예해지는 이런 때일수록 더더욱 관용(寬容)을 발휘해야 할 시기가 아닌가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43
1302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65
1301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5
1300 말빨, 화장빨, 글빨 바람의종 2010.03.07 10232
1299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601
1298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87
129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63
1296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405
1295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611
1294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908
1293 날아왔다 / 날라왔다 바람의종 2010.03.08 10713
1292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373
1291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623
129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24
1289 겨우내, 가으내 바람의종 2010.03.09 10265
1288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74
1287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9
1286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353
1285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88
1284 타산지석 바람의종 2010.03.10 10610
1283 이제나저제나 바람의종 2010.03.10 10435
1282 영어로 들어간 우리말 바람의종 2010.03.12 11172
1281 둥개다 바람의종 2010.03.12 118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