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0 20:47

너댓개

조회 수 985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댓개

'예전 동네 구멍가게는 서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곳에서 아이들은 온갖 군것질거리를 해결했고, 어머니는 장이 서지 않을 때엔 두부·콩나물·야채 등 반찬거리를 마련했다. 그런 구멍가게가 수퍼마켓·할인점의 대형화와 가격 할인 경쟁에 밀려 점차 사라지고 있다. 대형 할인점이 소비자들에게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한두' 개만 필요한 물품인데 일부는 '세네' 개나 '너댓' 개씩 포장돼 있어 과소비를 부채질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또한 구멍가게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생계를 꾸리기 위해 사업을 하는 서민들이다. 그들에겐 구멍가게가 삶 그 자체다.'

위 글에 나오는 '세네''너댓'은 올바른 우리말 표기가 아니다. '서너''너덧(네댓)'으로 해야 옳다. 수량을 나타내는 관형사 중 두 가지 수량을 한꺼번에 표시하는 것으로는 '한두, 두세, 서너, 너덧(네댓·네다섯·너더댓), 대여섯, 예닐곱' 등이 있다. 이 중 '한두, 두세, 대여섯, 예닐곱' 등은 일반인들이 헷갈리지 않고 바르게 쓰고 있는데 반해 '서너'와 '너덧'은 '세네 (개)', '너댓 (개)'등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서너'는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그 수량이 셋이나 넷임을 나타내는 말'(서너 되/서너 명/서너 사람/서너 포기/서너 집)이며, '너덧'은 '넷이나 다섯쯤 되는 수. 또는 그런 수'를 뜻한다. '너덧'의 동의어로는 '네댓, 너더댓, 네다섯'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32
2226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03
2225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02
2224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01
2223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891
2222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82
2221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76
2220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75
2219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69
2218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66
2217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866
2216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63
2215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856
»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56
2213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55
2212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51
2211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851
2210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851
2209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0
2208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48
2207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43
2206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40
2205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