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62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초봄으로 접어들며 꽃샘바람이 차갑지만 산수유 노란 꽃망울이 금방이라도 터질 듯 부풀었다. 마치 '추위야 물러가라'라고 소리치는 듯하다. 겨울바람이 미처 꼬리를 감추기도 전에 함성처럼 피어나는 산수유는 봄의 길라잡이라 해도 손색이 없다. 옛날 높은 벼슬아치들이 행차할 때는 길라잡이가 앞에서 길을 트기 위해 '물렀거라'라고 소리 높여 외쳤다. 길라잡이가 외치던 벽제소리 '물렀거라'는 요즘에도 '더위야 물렀거라', '추위야 물렀거라'에서부터 '피로야 물렀거라', '참고서야 물렀거라'에 이르기까지 광고 문구에 무척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글로 쓴 걸 보면 '물렀거라' 못지않게 '물럿거라'로 한 것도 많다. 둘 중 '물렀거라'가 바르게 표기한 것이고 '물럿거라'는 잘못된 것이다. 이 둘은 소리가 같게 나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다. '물렀거라'는 '물러 있거라'가 줄어든 말이다. 한글 맞춤법은 줄어든 말에서도 본딧말의 형태를 유지하는 쪽으로 돼 있다. '물렀거라'의 받침을 'ㅅ'으로 쓰지 않고 'ㅆ'으로 쓴 것이 그 예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딧말과 준말의 관련성을 보여줄 수 있다.

'어제 저녁'이 줄어서 '엊저녁'이 되고, '바깥사돈'이 줄어 '밭사돈'이 되며, '여기 있소'가 줄어서 '옜소'가 되는 것도 같은 사례다. '엊저녁'의 경우 '엊'에 '어제'의 'ㅈ'이 받침으로 살아있고, '밭사돈'은 '밭'에 '바깥'의 'ㅌ'이 살아있으며, '옜소'의 경우도 '있소'의 'ㅆ'이 '옜'에 살아있음을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3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32
2028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64
2027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305
2026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491
2025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857
2024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49
2023 -씩 바람의종 2010.01.23 9455
2022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147
2021 그만한 / 그만 한, 한걸음 / 한 걸음, 그만해야지 / 그만 해야지 바람의종 2010.01.22 11270
2020 그러잖아도는 동작, 그렇잖아도는 상태 바람의종 2010.01.22 10755
2019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43
2018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902
2017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548
2016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765
2015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94
2014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62
2013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70
2012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92
2011 말 비틀기(2) 바람의종 2010.01.20 8807
2010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28
2009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631
200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521
2007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