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62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초봄으로 접어들며 꽃샘바람이 차갑지만 산수유 노란 꽃망울이 금방이라도 터질 듯 부풀었다. 마치 '추위야 물러가라'라고 소리치는 듯하다. 겨울바람이 미처 꼬리를 감추기도 전에 함성처럼 피어나는 산수유는 봄의 길라잡이라 해도 손색이 없다. 옛날 높은 벼슬아치들이 행차할 때는 길라잡이가 앞에서 길을 트기 위해 '물렀거라'라고 소리 높여 외쳤다. 길라잡이가 외치던 벽제소리 '물렀거라'는 요즘에도 '더위야 물렀거라', '추위야 물렀거라'에서부터 '피로야 물렀거라', '참고서야 물렀거라'에 이르기까지 광고 문구에 무척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글로 쓴 걸 보면 '물렀거라' 못지않게 '물럿거라'로 한 것도 많다. 둘 중 '물렀거라'가 바르게 표기한 것이고 '물럿거라'는 잘못된 것이다. 이 둘은 소리가 같게 나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다. '물렀거라'는 '물러 있거라'가 줄어든 말이다. 한글 맞춤법은 줄어든 말에서도 본딧말의 형태를 유지하는 쪽으로 돼 있다. '물렀거라'의 받침을 'ㅅ'으로 쓰지 않고 'ㅆ'으로 쓴 것이 그 예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딧말과 준말의 관련성을 보여줄 수 있다.

'어제 저녁'이 줄어서 '엊저녁'이 되고, '바깥사돈'이 줄어 '밭사돈'이 되며, '여기 있소'가 줄어서 '옜소'가 되는 것도 같은 사례다. '엊저녁'의 경우 '엊'에 '어제'의 'ㅈ'이 받침으로 살아있고, '밭사돈'은 '밭'에 '바깥'의 'ㅌ'이 살아있으며, '옜소'의 경우도 '있소'의 'ㅆ'이 '옜'에 살아있음을 볼 수 있다.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65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0151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7Dec
    by 바람의종
    2008/12/07 by 바람의종
    Views 8328 

    강짜

  5. No Image 07Dec
    by 바람의종
    2008/12/07 by 바람의종
    Views 7351 

    너구리

  6. No Image 06Dec
    by 바람의종
    2008/12/06 by 바람의종
    Views 16537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7. No Image 06Dec
    by 바람의종
    2008/12/06 by 바람의종
    Views 8214 

    이견을 좁히다

  8. No Image 06Dec
    by 바람의종
    2008/12/06 by 바람의종
    Views 7490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9. No Image 06Dec
    by 바람의종
    2008/12/06 by 바람의종
    Views 10357 

    뽐뿌와 지르다

  10. No Image 29Nov
    by 바람의종
    2008/11/29 by 바람의종
    Views 8411 

    이같이, 이 같은

  11. No Image 29Nov
    by 바람의종
    2008/11/29 by 바람의종
    Views 8620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12. No Image 29Nov
    by 바람의종
    2008/11/29 by 바람의종
    Views 10471 

    두리뭉실

  13. No Image 29Nov
    by 바람의종
    2008/11/29 by 바람의종
    Views 7798 

    더펄이

  14. No Image 27Nov
    by 바람의종
    2008/11/27 by 바람의종
    Views 6812 

    세일, 리베이트

  15. No Image 27Nov
    by 바람의종
    2008/11/27 by 바람의종
    Views 8943 

    빨강색, 빨간색, 빨강

  16. No Image 27Nov
    by 바람의종
    2008/11/27 by 바람의종
    Views 6222 

    아니오, 아니요

  17. No Image 27Nov
    by 바람의종
    2008/11/27 by 바람의종
    Views 7629 

    죽이란대두

  18. No Image 26Nov
    by 바람의종
    2008/11/26 by 바람의종
    Views 6190 

    충분

  19. 여우

  20. No Image 25Nov
    by 바람의종
    2008/11/25 by 바람의종
    Views 11786 

    띄다, 띠다

  21. No Image 25Nov
    by 바람의종
    2008/11/25 by 바람의종
    Views 7535 

    모아지다

  22. No Image 25Nov
    by 바람의종
    2008/11/25 by 바람의종
    Views 7797 

    꿰매다, 시치다

  23. No Image 25Nov
    by 바람의종
    2008/11/25 by 바람의종
    Views 7525 

    잠바

  24. No Image 24Nov
    by 바람의종
    2008/11/24 by 바람의종
    Views 8769 

    옛부터, 옛스럽다

  25. No Image 24Nov
    by 바람의종
    2008/11/24 by 바람의종
    Views 11219 

    명란젓, 창란젓, 토하젓, 토화젓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