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7 07:39

세일, 리베이트

조회 수 680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일, 리베이트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지만 경기는 언제쯤 회복될지 알 수 없다. 기업들은 나름대로 경기를 진작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장기 불황에 소비 위축까지 겹쳐 곳곳에 '세일'이란 문구가 붙어 있다. '상품 몇% 세일'뿐만 아니라 '수험생 50% 세일' '신입생 50% 세일' 등의 문구도 보인다. 세일(sale)은 원래 '상품을 팔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위의 문구는 '수험생 50%를 팝니다' '신입생 50%를 팝니다'라는 뜻이 되는 셈이다. 물론 의도는 '수험생이나 신입생에게 값을 50% 깎아준다'는 의미다. '바겐 세일(bargain sale)'이나 '디스카운트 세일(discount sale)'의 뜻으로 '세일'을 워낙 많이 쓰다 보니 국어사전에까지 이 단어가 올라 있다. 그러나 '싸게 판다'는 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으므로 '세일' 대신 '할인판매'로 쓰는 것이 좋겠다.

이처럼 뜻을 정확하게 알지 못해 잘못 사용하는 외래어 중에는 '리베이트(rebate)'도 있다. 예를 들면 '10억원의 대출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전·현직 행장 세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건설 업체에서 500만원의 리베이트를 받아 챙긴 혐의로 현직 구청장을 구속했다'처럼 쓴다. 그러나 리베이트는 물건을 판 뒤에 산 사람에게 사례금이나 보상금 형식으로 돌려주는 일정 비율의 돈을 뜻하며, 정당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위의 문장에서는 '뇌물'이란 말을 쓰는 것이 정확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04
1962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32
1961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51
1960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51
1959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91
1958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47
1957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900
1956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275
1955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72
1954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94
1953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24
1952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85
1951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93
1950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43
1949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063
1948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59
1947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20
1946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92
1945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116
1944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401
1943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38
1942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50
1941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