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7 07:37

빨강색, 빨간색, 빨강

조회 수 8937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빨강색, 빨간색, 빨강

올해도 어김없이 남도엔 동백꽃 바람이 불고 있다. 하얀 눈 위에 '빨강색'꽃송이를 통째로 떨어뜨리는 겨울꽃, 동백의 자태는 언제 보아도 의연하다.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피고 지기를 거듭하는 동백꽃은 초록빛 잎사귀와 '빨강색'꽃잎, '노랑색'꽃술이 선명한 대비를 이뤄 정열적이고 강렬한 인상을 풍긴다. 겨우내 남도의 섬에만 머물러 있던 동백꽃은 입춘을 시작으로 육지에까지 꽃망울을 터뜨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동백꽃이 피는 곳은 해남 땅끝에서 뱃길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보길도다. 한겨울에 꽃을 피워 봄에 지는 보길도 동백이야말로 진정한 동백(冬柏)꽃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보이는 '빨강색, 노랑색'은 '빨간색, 노란색' 혹은 '빨강, 노랑'으로 하는 게 좋다. '빨강, 노랑'자체가 색을 표현하는 단어인데, 굳이 그 뒤에 '-색'을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단어의 중복이다. '파랑색, 검정색, 하양색' 등도 마찬가지로 '파랑, 검정, 하양' 또는 '파란색, 검은색, 하얀색'으로 해야 한다. 한편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지난해 10월 기본색 이름을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자주, 분홍, 갈색(이상 유채색)과 하양, 회색, 검정(이상 무채색)으로 정하고, 색 수식어는 기존의 '빨강 띤 주황, 녹색 띤 연두'처럼 '~ 띤'으로 하던 것을 '빨간 주황, 초록빛 연두'처럼 '~ㄴ'형으로 쓰거나 단음절형 '~빛'으로 체계화하며, 관용적으로 쓰던'핑크, 브라운, 브론즈색'등을 '분홍, 갈색, 청동색'등 우리말로 바꾼다고 발표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0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76
1742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64
1741 재미 바람의종 2010.05.30 8674
1740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76
1739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78
1738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79
1737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1
1736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87
1735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90
1734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691
1733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1
17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694
1731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698
1730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98
1729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99
1728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701
1727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703
1726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08
1725 무데뽀 바람의종 2008.02.12 8709
1724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2
1723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715
1722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19
1721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