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5 05:27

모아지다

조회 수 753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아지다

요즘 '모아지다'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모아지다'는 타동사 '모으다'에 피동형을 만드는 '지다'가 붙어 이루어진 것으로, 조어법상으론 가능할지 모르나 자연스럽지 않은 말이다. '모아지다'가 쓰인 문장은 다음 두 가지로 나눠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모으다'의 피동사 '모이다'가 보다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임에도 굳이 '모아지다'를 쓴 경우다. '작은 정성이 모아져 큰 힘이 된다' '성금이 많이 모아졌다' 등이 '모이다'로 하면 될 것을 '모아지다'로 해 어색한 예다. 이때는 '모이다'로 바꾸어 '정성이 모여' '성금이 많이 모였다' 등으로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둘째는 '모으다'의 피동태 자체가 문장에서 어울리지 않는 경우로, '모아지다'를 '모이다'로 바꾸어도 마찬가지로 어색한 문장이 된다.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들의 경쟁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신인들의 활약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민심의 향배에 정치권의 이목이 모아지고 있다' 등이 그런 예다. 위에 나오는 관심·시선·기대·이목 등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단어는 '모아지다' '모이다'와는 기본적으로 잘 어울리지 않는다. '모으다' '끌다' 또는 '쏠리다' '집중되다' 등이 어울린다. 따라서 '모아지다'를 이들 단어로 바꾸어 쓰거나 그에 맞게 문장을 재구성해야 자연스럽다. 이처럼 '모아지다'는 단어 자체가 부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어색한 문장을 만들어 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게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58
2094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92
2093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90
2092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589
2091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79
2090 덕아웃이 아니고 왜 더그아웃? 바람의종 2010.01.06 9577
2089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576
2088 내 자신 바람의종 2010.07.05 9575
2087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73
2086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573
2085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69
2084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69
2083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65
2082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63
2081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62
2080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62
2079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60
2078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560
2077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57
2076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556
2075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52
207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50
2073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