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5 05:27

모아지다

조회 수 754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아지다

요즘 '모아지다'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모아지다'는 타동사 '모으다'에 피동형을 만드는 '지다'가 붙어 이루어진 것으로, 조어법상으론 가능할지 모르나 자연스럽지 않은 말이다. '모아지다'가 쓰인 문장은 다음 두 가지로 나눠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모으다'의 피동사 '모이다'가 보다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임에도 굳이 '모아지다'를 쓴 경우다. '작은 정성이 모아져 큰 힘이 된다' '성금이 많이 모아졌다' 등이 '모이다'로 하면 될 것을 '모아지다'로 해 어색한 예다. 이때는 '모이다'로 바꾸어 '정성이 모여' '성금이 많이 모였다' 등으로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둘째는 '모으다'의 피동태 자체가 문장에서 어울리지 않는 경우로, '모아지다'를 '모이다'로 바꾸어도 마찬가지로 어색한 문장이 된다.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들의 경쟁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신인들의 활약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민심의 향배에 정치권의 이목이 모아지고 있다' 등이 그런 예다. 위에 나오는 관심·시선·기대·이목 등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단어는 '모아지다' '모이다'와는 기본적으로 잘 어울리지 않는다. '모으다' '끌다' 또는 '쏠리다' '집중되다' 등이 어울린다. 따라서 '모아지다'를 이들 단어로 바꾸어 쓰거나 그에 맞게 문장을 재구성해야 자연스럽다. 이처럼 '모아지다'는 단어 자체가 부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어색한 문장을 만들어 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게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1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6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511
1368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85
1367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331
1366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61
1365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7012
1364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37
1363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89
1362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363
1361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90
1360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327
1359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939
»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44
1357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373
1356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852
1355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6
1354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1353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669
1352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48
1351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59
135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90
1349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34
1348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14
1347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6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