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4 05:12

구비구비, 메꾸다

조회 수 955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비구비, 메꾸다

'나는 지리산의 아늑한 계곡에 묻히고 싶다. 실상사·천은사·화엄사, 그 곁을 스치는 섬진강 구비구비. 어느 바위엔가 털썩 주저앉아 흐르는 강물, 그 위를 떠도는 낙엽만이 내 친구다.' '역사의 구비마다 권력에 의해 거짓이 진실로, 진실이 거짓으로 뒤바뀌는 구석이 얼마나 많았느냐.'

'굽이'는 '휘어서 구부러진 곳'이나 '휘어서 구부러진 곳을 세는 단위'를 이를 때 쓰이는 말이다. 그런데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많은 사람이 '굽이'를 발음에 이끌려 자꾸 '구비'로 쓴다. '굽이굽이' '굽이치다''굽이돌다'를 '구비구비''구비치다''구비돌다'로 적는 것도 마찬가지다. 한글 맞춤법 제19항은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굽이'는 '굽다'에서 왔으므로 '굽이(굽+이)'로 적는 것이 옳다.

'밤늦게 집에 돌아와 잠든 딸의 얼굴을 어루만져 준 뒤 부엌으로 들어가 쪼그리고 앉은 채 찬밥으로 시장기를 메꾸다 보면 내가 정말 왜 이러고 사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곤 했다.'

이 문장은 '메우다'를 '메꾸다'로 잘못 쓴 경우다. 구멍이나 빈 곳을 채운다는 뜻의 '메우다'는 '메다'에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우'가 붙은 형태인데, '입맛을 돋우다'를 '입맛을 돋구다'로 잘못 쓰는 것처럼 '메우다'를 '메꾸다'로 거세게 발음하는 경향이 원인인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35
2072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70
2071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68
2070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68
2069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568
2068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557
2067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56
2066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555
2065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55
»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51
2063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9
2062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48
206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41
2060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9
2059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9
2058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9
2057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33
2056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33
2055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9
2054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6
2053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24
2052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3
2051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