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4 05:12

구비구비, 메꾸다

조회 수 953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비구비, 메꾸다

'나는 지리산의 아늑한 계곡에 묻히고 싶다. 실상사·천은사·화엄사, 그 곁을 스치는 섬진강 구비구비. 어느 바위엔가 털썩 주저앉아 흐르는 강물, 그 위를 떠도는 낙엽만이 내 친구다.' '역사의 구비마다 권력에 의해 거짓이 진실로, 진실이 거짓으로 뒤바뀌는 구석이 얼마나 많았느냐.'

'굽이'는 '휘어서 구부러진 곳'이나 '휘어서 구부러진 곳을 세는 단위'를 이를 때 쓰이는 말이다. 그런데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많은 사람이 '굽이'를 발음에 이끌려 자꾸 '구비'로 쓴다. '굽이굽이' '굽이치다''굽이돌다'를 '구비구비''구비치다''구비돌다'로 적는 것도 마찬가지다. 한글 맞춤법 제19항은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굽이'는 '굽다'에서 왔으므로 '굽이(굽+이)'로 적는 것이 옳다.

'밤늦게 집에 돌아와 잠든 딸의 얼굴을 어루만져 준 뒤 부엌으로 들어가 쪼그리고 앉은 채 찬밥으로 시장기를 메꾸다 보면 내가 정말 왜 이러고 사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곤 했다.'

이 문장은 '메우다'를 '메꾸다'로 잘못 쓴 경우다. 구멍이나 빈 곳을 채운다는 뜻의 '메우다'는 '메다'에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우'가 붙은 형태인데, '입맛을 돋우다'를 '입맛을 돋구다'로 잘못 쓰는 것처럼 '메우다'를 '메꾸다'로 거세게 발음하는 경향이 원인인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7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197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12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61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4978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32
2904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54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64
2902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19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37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27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183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89
»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36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79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07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39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06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31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71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184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421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90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