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9 02:17

어거지, 억지

조회 수 664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거지, 억지

우리 속담에 '콩을 보고 팥이라고 우긴다'는 말이 있다. 이는 사실과 다른 주장을 막무가내로 내세운다는 뜻으로, 억지스럽게 고집을 부리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이렇게 말이 되지도 않는 것을 맞는다고 우기거나 잘 안 될 일을 무리하게 기어이 해내려고 고집을 피울 때 '어거지'란 말을 자주 쓴다. '독재자의 공통된 속성은 남에게 강하고 자신한테는 약하다는 점이다.

독재자는 쉽게 말하면 남한테 어거지를 쓰는 사람인데, 성장환경이나 어떤 부분에서 결핍된 것이 많은 사람, 열등감이 많은 사람이 독재자가 되는 경향이 있다….

'대영 박물관과 루브르 박물관은 자국의 문화재는 힘을 이용해 다시 찾아오지만, 자국이 보유한 타국의 문화재는 어거지 논리로 반환해 주지 않습니다. 강대국의 힘을 이용해 국제법에 입김을 넣고 자국에 유리하게 적용시킵니다.' '1등에 당첨된 로또 복권을 자기가 분실한 것이라면서 어거지 쓴 그 아줌마는 어떻게 됐나요?'

이처럼 '어거지'란 말이 일상생활에서 상당히 많이 쓰이지만 표준어가 아니다. '억지'라고 해야 맞다. '억지'보다 느낌이 작은 말로는 '악지'가 있다. '어거지'보다는 '억지'가 발음이 더 세고 고집스러움도 더한 듯싶다. '억지 춘향이'를 '어거지 춘향이'라고 해 보자. 뭔가 좀 약한 느낌이 들며 어색하지 않은가. 때로는 억지를 부리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억지보다는 순리를 따르는 것이 더 낫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9
2292 어르다, 으르다 바람의종 2010.09.01 10607
2291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84
2290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636
2289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46
2288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428
2287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519
2286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604
2285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43
2284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68
2283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223
2282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98
2281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908
2280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85
2279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88
2278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7
2277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92
2276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555
2275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9
2274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86
2273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51
»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46
2271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