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8 01:51

외곬, 외골수

조회 수 779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곬, 외골수

장기(將棋)에서 상대방이 장군을 불렀을 때 궁(宮)이 어디로도 피할 수 없게 된 상태를 '외통'이라고 한다. '외통'은 이 밖에도 '오로지 한 곳으로만 트인 길'이라는 뜻이 있는데, 이와 같은 뜻으로 '외곬'이 있다. '외곬'은 '외골수''외곬수'와 자주 혼동해 쓰인다. 이 세 낱말 중에서 '외곬수'는 틀린 표기다. '외곬'과 '외골수'는 단어의 형태와 구성이 비슷하지만 의미가 서로 다른 말이다. '외곬'은 '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이라는 뜻 말고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이란 뜻도 있다. 후자의 뜻일 때는 주로 '외곬으로'의 형태로 쓰인다. '외곬'은 '외-'('하나인' '한쪽에 치우친'의 뜻)와 '곬'('한쪽으로 트여 나가는 방향이나 길'의 뜻)이 합쳐진 말이다.

한편 '외골수'는 '외-'+'골수(骨髓)'로 이루어져 '단 한 방면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을 이른다. '그 사람을 완전히 잊어버리기엔 너무도 깊어져버린 나의 외골수 사랑이 안타까워 소중한 추억들을 조금은 남겨 놓아야겠습니다.'(→외곬) '저 사람은 너무 외골수로 치우쳐 고지식하기만 할 뿐 융통성이라곤 전혀 없다.'(→외곬으로) '회사 측과 노조가 상대방에게만 모든 책임을 전가한 채 외골수로 치달아선 안 된다.'(→외곬으로) 간추리면 '외골수'는 '사람'에 한정해 쓰고, '방법이나 방향 또는 길'과 관련해선 '외곬'을 쓴다.

한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려면 '외골수'여야 하지만 생각이나 사상이 '외곬'으로 치우쳐선 안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09
1368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37
1367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1366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930
1365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928
1364 바람의종 2009.07.31 7928
1363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27
1362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7
1361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5
1360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24
1359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22
1358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16
1357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15
1356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14
1355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4
1354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10
1353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07
1352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06
1351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903
1350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03
1349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00
1348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00
1347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