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8 01:51

외곬, 외골수

조회 수 783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곬, 외골수

장기(將棋)에서 상대방이 장군을 불렀을 때 궁(宮)이 어디로도 피할 수 없게 된 상태를 '외통'이라고 한다. '외통'은 이 밖에도 '오로지 한 곳으로만 트인 길'이라는 뜻이 있는데, 이와 같은 뜻으로 '외곬'이 있다. '외곬'은 '외골수''외곬수'와 자주 혼동해 쓰인다. 이 세 낱말 중에서 '외곬수'는 틀린 표기다. '외곬'과 '외골수'는 단어의 형태와 구성이 비슷하지만 의미가 서로 다른 말이다. '외곬'은 '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이라는 뜻 말고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이란 뜻도 있다. 후자의 뜻일 때는 주로 '외곬으로'의 형태로 쓰인다. '외곬'은 '외-'('하나인' '한쪽에 치우친'의 뜻)와 '곬'('한쪽으로 트여 나가는 방향이나 길'의 뜻)이 합쳐진 말이다.

한편 '외골수'는 '외-'+'골수(骨髓)'로 이루어져 '단 한 방면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을 이른다. '그 사람을 완전히 잊어버리기엔 너무도 깊어져버린 나의 외골수 사랑이 안타까워 소중한 추억들을 조금은 남겨 놓아야겠습니다.'(→외곬) '저 사람은 너무 외골수로 치우쳐 고지식하기만 할 뿐 융통성이라곤 전혀 없다.'(→외곬으로) '회사 측과 노조가 상대방에게만 모든 책임을 전가한 채 외골수로 치달아선 안 된다.'(→외곬으로) 간추리면 '외골수'는 '사람'에 한정해 쓰고, '방법이나 방향 또는 길'과 관련해선 '외곬'을 쓴다.

한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려면 '외골수'여야 하지만 생각이나 사상이 '외곬'으로 치우쳐선 안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58
134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77
1345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9017
1344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315
1343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28
1342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7114
1341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7014
1340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768
1339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431
1338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2002
1337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4017
1336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31
1335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45
1334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363
1333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264
1332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639
1331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700
1330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542
1329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46
1328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30
1327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730
1326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764
1325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9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