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5:06

벗어지다, 벗겨지다

조회 수 805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벗어지다, 벗겨지다

일반적으로 머리 숱이 적은 사람을 가리켜 '머리가 벗겨졌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틀린 말이다. 머리가 벗겨지면 큰일난다. '머리가 벗어졌다'고 해야 옳다. '벗겨지다'는 '덮이거나 씌워진 물건이 외부의 힘에 의해 떼어지거나 떨어지다'(신발이 꽉 끼어 잘 벗겨지지 않는다), '사실이 밝혀져 죄나 누명 따위에서 벗어나다'(죽어서야 자식들에 의해 오명이 벗겨졌다)의 뜻인 반면, '벗어지다'는 '덮이거나 씌워진 물건이 흘러내리거나 떨어져 나가다'(신발이 커서 자꾸 벗어진다), '머리카락이나 몸의 털 따위가 빠지다'(머리가 벗어지다), '피부나 거죽 따위가 깎이거나 일어나다'(넘어져서 무릎이 벗어졌다), '때나 기미 따위가 없어져 미끈하게 되다'(촌티가 벗어지다)의 뜻이다.

'벗겨지다'는 '벗다'의 사동사 '벗기다'에, '벗어지다'는 '벗다'에 피동의 뜻을 가진 '-어지다'가 붙은 말이다. 그러므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한 경우라면 '벗겨지다'라고 쓸 수 있지만, 강제적인 힘이 아니라면 '벗어지다'라고 써야 옳다.

첫 문장에서처럼 '머리가 벗겨졌다'고 하면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머리 가죽이 벗겨졌다는 끔찍한(?) 뜻이 되고 만다. 그 밖에 '옷이 커서 자꾸 벗겨진다/햇빛에 그을어 살갗이 벗겨진다'처럼 일반 사람들이 강제성이 없는 경우에도 '벗어지다'보다 '벗겨지다'를 훨씬 더 많이 쓰고 있지만 이는 어법에 어긋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36
1478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885
1477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34
1476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779
1475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47
1474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55
147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147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0
1471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83
1470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2
1469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60
1468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42
1467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377
1466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16
1465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83
1464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07
1463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31
1462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38
1461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26
1460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1459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618
1458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15
1457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7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