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5:06

벗어지다, 벗겨지다

조회 수 809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벗어지다, 벗겨지다

일반적으로 머리 숱이 적은 사람을 가리켜 '머리가 벗겨졌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틀린 말이다. 머리가 벗겨지면 큰일난다. '머리가 벗어졌다'고 해야 옳다. '벗겨지다'는 '덮이거나 씌워진 물건이 외부의 힘에 의해 떼어지거나 떨어지다'(신발이 꽉 끼어 잘 벗겨지지 않는다), '사실이 밝혀져 죄나 누명 따위에서 벗어나다'(죽어서야 자식들에 의해 오명이 벗겨졌다)의 뜻인 반면, '벗어지다'는 '덮이거나 씌워진 물건이 흘러내리거나 떨어져 나가다'(신발이 커서 자꾸 벗어진다), '머리카락이나 몸의 털 따위가 빠지다'(머리가 벗어지다), '피부나 거죽 따위가 깎이거나 일어나다'(넘어져서 무릎이 벗어졌다), '때나 기미 따위가 없어져 미끈하게 되다'(촌티가 벗어지다)의 뜻이다.

'벗겨지다'는 '벗다'의 사동사 '벗기다'에, '벗어지다'는 '벗다'에 피동의 뜻을 가진 '-어지다'가 붙은 말이다. 그러므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한 경우라면 '벗겨지다'라고 쓸 수 있지만, 강제적인 힘이 아니라면 '벗어지다'라고 써야 옳다.

첫 문장에서처럼 '머리가 벗겨졌다'고 하면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머리 가죽이 벗겨졌다는 끔찍한(?) 뜻이 되고 만다. 그 밖에 '옷이 커서 자꾸 벗겨진다/햇빛에 그을어 살갗이 벗겨진다'처럼 일반 사람들이 강제성이 없는 경우에도 '벗어지다'보다 '벗겨지다'를 훨씬 더 많이 쓰고 있지만 이는 어법에 어긋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406
2116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71
2115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70
2114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67
2113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664
2112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59
2111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55
2110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52
2109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49
210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48
2107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47
2106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3
210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43
2104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41
2103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40
2102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37
2101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36
2100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33
2099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31
2098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630
2097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625
2096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22
2095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6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